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기고

[강원포럼]태평성세를 꿈꾸며

전명준 홍천군번영회장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6·13 지방선거가 끝났다. 풀뿌리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각 자치단체의 행정부와 입법부를 이끌 인물들이 확정됐다. 이제는 내가 지지한 사람이든 아니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발전을 위해 한마음이 되도록 하는 화합의 정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풀뿌리민주주의는 정당정치의 굴레에서 벗어나야만 진정한 민주주의로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선인들은 그동안 선거 과정에서 내 편, 네 편, 저 편, 이 편 나뉘었던 민심을 빠른 시일 내에 하나로 묶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4년 후 치러지는 선거는 또다시 서로의 지지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전쟁터가 될 것이 분명하다. 우리 민족은 비록 당쟁 등으로 인해 갈등하는 경우에도 위급한 시기에 봉착하면 하나로 뭉쳐 슬기롭게 극복해 왔다. 이는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필자는 모든 국민이 지금의 우리나라가 그러한 위기의 시기라고 여기기를 바란다.

올해까지 7번에 걸쳐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치르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우리나라 민주주의이지만, 서로의 정책 중에 좋은 것을 인정하거나 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고 오히려 마타도어와 서로를 향한 비난 등이 반복돼 왔다는 점은 그러한 의미에서 매우 아쉽다.

사실 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책 방향과 후보의 역량, 도덕성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 정책 방향과 세부 공약은 후보 선택의 매우 중요한 바로미터다. 그렇기에 상대방의 정책이 좋으면 자신의 공약에 포함시킨 후 “비록 직접 찾아내지는 않았지만 내가 ○○○가 돼 이뤄내겠다”는 적극적인 모습도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당선인들이 지금이라도 상대 후보의 공약 중에 필요한 부분을 채택하는 용기를 발휘해주기를 바란다. 민주주의는 다양성의 인정이 큰 특징이라고 하겠지만, 그 다양성이 시민과 국민의 행복 위에 있을 수는 없다. 시민과 국민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적이라고 해도 '정책 연대'를 할 수 있어야만 한다.

정치적 소신이 다른 시민들이 한마음이 되도록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역시 소통이다. 그 대상이 누구라고 할지라도 마음을 열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끊임없이 만들어야만 한다. 어떤 사람들은 꼭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않더라도 그 소통의 기회를 가졌다는 것만으로도 만족을 느낄 수 있다.

중국 고대 최고의 태평성세를 이룬 시기는 '요순시대'다. 요순시대의 백성은 당시 왕이 누구냐고 물으면 “모른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는 먹고살 만하고 아무 걱정거리가 없는데 왕이 누구든 무슨 상관이냐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말하자면 '행복한 무관심'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해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자치단체장, 의원이 누구냐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누가 되느냐에 따라 자신의 이해득실이 확연하게 차이 나기 때문이다. 이는 반대로 '불행한 관심'이다. 무관심을 틈타 비리를 저지르거나 사익을 추구한 일부 정치인의 행태에 대한 당연한 반응이기도 하다. 이러한 때에 우리는 당선인들을 향해 '행복한 무관심'을 실현해 달라는 요구를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주민들이 시장·군수를 걱정하고, 도·시·군의원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벗어나 '태평성세'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말이다.

외부 기고는 본보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