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칼럼

[기자 칼럼 신호등]교육감 선거를 향한 열기

정윤호 사회부

‘저주받은 XX년생'이라는 표현이 유행이었다.

‘태어나 보니, 학교에 들어가 보니, 대학을 졸업할 즈음' 등으로 시작해 각 세대가 사회 변화에 따라 겪은 일들을 한탄하듯 나열하는 비슷한 패턴이다. 지금 아이들도 코로나19로 바뀐 일상을 놓고 어디선가 “우리 XX년생은 …”이라며 저주 레퍼토리를 읊고 있을지 모른다.

다수의 공감을 먹고 퍼져 가는 이런 류의 글 속에서 ‘교육'은 웬만하면 빠지지 않는 원성의 꼭지다. 학교에서의 경험, 교육 정책의 변화를 체감했던 기억들이 인생을 되짚는 과정에서 크게 다가오기 때문이지 싶다.

이런 맥락에 비춰 강원도교육감을 바라봤다.

강원도 학생 16만명의 교육을 이끌고 3조원의 교육 예산을 총괄하는 사람. 교원과 공무원 3만6,000여명을 진두지휘하며 본청을 비롯해 15개 직속기관과 17개 시·군교육지원청, 학교 1,000여개를 통솔하는 거대 조직의 수장이기도 하다.

권한도 막강하다. 교육부는 교육자치 실현을 목표로 유치원과 초등·중등교육과 관련한 131개의 권한을 시·도교육감에게 이양하고 있다. 이 결과 교육과정과 학교 운영, 회계, 조직 구성, 징계 등 여러 권한이 교육감의 손에 쥐어졌다. 지역 교육정책이 전국으로 확대되거나 교육감이 뱉은 쓴소리에 정부의 교육정책이 수정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이에 때로는 고교 체제 개편, 교장 공모제, 교과서 자유발행제 등 민감한 사안들을 꼽아 가며 교육감의 권력 비대화를 지적하는 목소리들이 제기된다. 학교와 교육의 무게에 걸맞게 교육감의 자리는 더없이 막중해졌다.

내년 6·1 지방선거를 1년 앞둔 지난달 강원도교육감 하마평이 담긴 기사들이 쏟아졌다. 이름이 오르내리는 복수의 입지자 면면과 동향이 소개됐다. 3선 터줏대감이 자리를 비키니 많은 교육계 인사가 출사표를 만지작 거리면서 초반 양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분석도 잇따랐다.

이후로도 입지자들은 코로나19의 그늘 속에서도 각종 토론회와 포럼에 얼굴을 비추고 책을 펴내며 자신의 교육관과 정책 비전 알리기에 힘써 왔다. 출마를 결심한 일부 입지자는 다음 달 일찌감치 모여 단일화 방식에 대해 머리를 맞대기로 뜻을 모았다고 한다. 서로를 견제하면서도 진영을 짜맞추며 목표를 향해 힘차게 공을 굴려 가는 모습이다.

그동안의 교육감 선거는 ‘깜깜이' 오명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아쉽게도 이번 선거 역시 코로나19 여파에다 대선과 자치단체장 선거에 치여 교육감 선거 열기가 넓게 퍼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1년 전 강원일보 사설은 첫 교육감 직선제를 앞두고 ‘로또 투표 안 돼'라는 제목이 붙었다. 당시 여론조사에서 유권자의 절반이 교육감 선거에 대해 ‘모른다'는 답을 내놨기 때문이다. 당시 사설은 교육감 선거가 강원교육의 미래, 학교교육의 발전과 퇴보를 결정지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시대의 마무리를 앞둔 지금, 3번의 경험을 쌓은 도민들은 변화된 모습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을까. 백년대계 교육의 향방을 결정지을 선거에 도민들의 관심이 좀 더 끓어 오르길 바랄 뿐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