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설

[사설]최문순 지사 당선인, 지역통합부터 이뤄내야

민선7기와 강원도(3)

침체 일로 지역경제 살리기 역점을

양적 성장보다는 내실 기해 나갈 때

최문순 도지사 당선인의 어깨가 무겁다. 공약이행은 물론이고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있는 지금 통일 1번지인 강원도를 변모시킬 책무를 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선거운동 기간 생긴 갈등을 봉합하고 하나 된 강원도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 경쟁했던 정창수 후보는 물론이고 지역의 인사들과도 자주 만나야 한다. 그들의 열정과 정책을 도정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최 당선인의 선거 승리는 비전을 이야기한 포지티브 선거 전략이 낳은 결과라고 본다.

그 연장선에서 서울사무소의 기능과 도 출신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한 국회 및 중앙부처와의 연계를 강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여당 도지사로서 중앙부처와의 관계도 이전과는 달라야 한다. 접근 방법도 정교해야 한다. 자만에 빠져서는 곤란하다. 중앙정부의 지원 기준은 정당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제시하는 방안이 얼마나 합리적이고 집요한가가 더 중요한 시대다. 이 같은 시대적 흐름을 제대로 파악해야 강원도의 힘을 키워 나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최 당선인이 강원도의 목소리를 내는 데 중심에 서야 한다. 언제까지 강원도가 정부정책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한탄만 할 수 없다.

둘째, 침체 일로에 있는 강원도 경제를 살려야 한다. 시대와 환경이 변하고 있지만 강원도의 경제사정은 예나 지금이나 뚜렷이 달라지지 않고 있다. 자금의 역외유출 문제, 대형업체들의 진출에 따른 영세상인들의 어려움, 향토기업들의 영업활동 위축은 단골메뉴다. 제조업 비중이 낮은 산업구조, 지방정부의 취약한 재정도 강원도를 옥죄고 있다. 그 원인이 정부 주도의 발전 전략에서 소외된 결과라는 분석이 정형화되다시피 했다.

이는 자연스럽게 강원도 무대접·푸대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여태껏 강원도 경제에 대한 일반론적 접근이었다. 그 대안은 '관광산업 발전'으로 귀결됐다. 하지만 관광 패턴의 변화, 다른 시·도의 관광산업 육성 전략은 한국 관광지도를 변화시키며 '강원관광'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강원도 관광은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지 대책을 세워야 강원경제가 활로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눈에 보이는 양적 성장에 급급하지 말고 주민들의 기초생활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발휘해야 한다. 양적인 성장을 이뤘지만 당장 현실의 문제인 주민들이 기초생활에 불편을 겪는다면 그 의미는 퇴색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일들은 일차적으로 기초자치단체장이 할 일이다. 그러나 도지사는 큰 틀에서 방향 제시가 있어야 한다. 넷째, 춘천 레고랜드의 성공적 완공과 동해북부선 조기 착공이다. 도 재정을 압박하는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매각과 미시령터널 최소 운영수익보장 문제도 시급한 현안이다. 올림픽경기장 사후 활용,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추진도 빼놓을 수 없다. 해결의 우선순위부터 정해야 한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