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 총선
  • 총선
  • 총선
  • 총선
사설

[사설]인도적 차원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상설화해야

남북정상회담 합의, '4·27 판문점 공동선언'으로 나온 8·15 계기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게 됐다. 남북적십자회담에서 일정과 규모 등을 확정했다. 8월20일부터 26일까지 금강산 면회소에서 만남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당초 기대에는 못 미친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남북 화해·평화의 무드를 감안하면 사안에 접근하는 북측의 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지난 22일 금강산 내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은 이산가족 상봉 성사를 넘어 보다 진전된 결과가 예상됐었다. 하지만 남북 대표단의 입장은 기대와 달리 엇갈렸다. 우리는 시종 인륜적 입장을 견지했지만 북측은 이산가족 문제를 남북관계 개선의 부속 행사로 여기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게 했다. “통일이 먼저이지 이산가족 문제가 뭐 그리 급하냐”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따라서 상봉 행사를 마련하는 것 자체에 만족하는 모양새다. 남북 각각 100명의 규모로 상봉을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남북·북미 대화 분위기를 타고 여러 화해 조치가 나오고 있지만 이산가족 상봉 재개는 각별하다. 생이별한 게 68년이 지났고 보면 그야말로 한(恨)이다. 헤어진 가족의 생사 여부만이라도 알고 싶다며 애태우며 소식을 기다리기만 하는 형편이다. 지난해 12월 유엔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될 당시에도 거론됐던 문제다. 이산가족 상봉 중단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현실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생사 확인, 서신 교환, 고향 방문 등의 조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권고다. 2015년 10월 이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데 대한 우려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보수해야 하는 관계로 남측이 시설 점검단을 오는 27일부터 파견하기로 했다. 이전 상봉에서 목격했지만 또다시 눈물바다를 지켜봐야 하는 형편이다. 문제의 본질은 생존해 있는 5만6,890명의 이산가족이 여전히 만남을 간절하게 소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노령이다. 따라서 상설면회소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 이미 2002년 제4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합의한 사업이다. 북한의 의중에 따라 기껏해야 몇백명 정도로 성사되는 이벤트 상봉은 무의미하다. 2002년 제4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합의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운영 상시화는 물론이고 가족·친지들이 수시로 연락할 수 있게 해야 마땅하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