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설

[사설]道, `디지털 경제환경'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나

정부가 지난 13일 혁신성장 추진 방안으로 '플랫폼 경제' 카드를 내놓았다. 빅데이터·블록체인·공유경제와 인공지능(AI), 수소경제 등을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했다. 플랫폼 경제는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등 여러 산업에 걸쳐 꼭 필요한 인프라, 기술, 생태계를 말한다. 앞으로 5년간 10조원을 들여 이들 분야와 함께 8대 선도사업을 육성하고 혁신인재 1만명도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전략으로 플랫폼 경제가 급부상했다. 당장 조례 제정부터 타 지자체에 한발 뒤처져 있는 도의 대응이 시급해졌다.

3대 전략투자 분야는 다양한 경제주체의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프라 성격을 가진 플랫폼 경제로 제조·유통·공공 부문 등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플랫폼 경제 분야는 파급효과가 크고 승자가 독식하는 구조여서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 투자를 서두르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그렇지 않으면 낙오자 신세가 된다는 얘기다. 전국의 자치단체가 플랫폼 경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고 있는 이유다. 따라서 그동안 손 놓고 있던 도내 자치단체들도 더 늦기 전에 정책적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다.

공유경제는 유휴자원을 타인과 공유하고 소비자원의 낭비를 줄이며 사회 공동의 이익 증가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국내 공유경제 규모는 연간 GDP의 0.005%(2017년 5월 한국은행 추정) 수준으로 아직 초기 단계다. 하지만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세계 공유경제 시장 규모가 2015년 150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3,350억 달러로 약 2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디지털 경제환경 변화에 맞는 경제 시스템 구축은 이제 시대적 흐름이다.

강원지역 경제는 저성장 고착화와 고용 없는 경제 성장으로 인한 취업절벽, 대기업과 중소기업 격차 확대로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플랫폼 경제는 이러한 부분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다. 지역경제의 성장에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모두에게 득이 될 수 있게 사회적 윤리를 갖춘 공유경제의 플랫폼은 중요하다.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스를 수 없는 경제적 대변화라는 점을 인식해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지역 차원의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할 때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