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설

[사설]응급실 `북새통', 환자 경중 분산 방안 나와야 한다

대학병원 응급실이 증상이 경미한 환자들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줄곧 북새통인 형국이라니 적당히 넘어갈 수 없다. 응급실의 본령이 희석되는 것은 고사하고 위중한 환자의 진료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국정감사를 통해 나타난 문제다.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이 중앙응급의료센터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응급의료기관 경증 환자 비율이 보통 높은 게 아니다. 물론 대학병원 응급실이 붐비는 것은 비단 도내뿐만은 아니라 전국이 마찬가지다. 그러나 도내의 경우는 그 정도가 심각하다. 올 상반기에 삼척의료원 응급실을 찾은 경증 환자의 비율이 그렇다. 집계된 중증 환자는 153명이었던 데 반해 경증 환자는 무려 6,680명이었다. 경미한 증상의 환자가 의당 응급실에서 우선 진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에 비해 무려 43배 이상 많았다. 도내에 있는 다른 권역응급의료센터들도 수치상의 정도는 덜하지만 사정은 비슷하다. 경증 환자가 적게는 1.3배에서 많게는 5.5배까지 나타났다고 한다.

생명이 직결된 응급실 기능이 그렇듯 관리·운영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보건복지부가 시설과 의료진 확보가 상대적으로 충실한 대학병원들을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놓은 이유다. 문제는 과밀화다. 다짜고짜 응급실로 달려가는 이용자들의 경솔한 행보가 도떼기시장을 방불케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을 방치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현실이 더 곤혹스럽게 한다. 부적합한 의료 체계, 시스템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탓이다. 밀려드는 경증 환자들로 인해 정작 위급한 상황에 처한 환자들이 응급실 진료를 충실하게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충분치 못한 응급실, 게다가 과밀화에 따른 진료서비스 부실은 해묵은 과제다. 온 나라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다시피 했던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뼈저리게 경험한 사안이다. 갖은 부산을 떨고 범정부 차원의 대책도 무수히 쏟아졌지만 응급실 과밀화 문제는 5년째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물며 지역 병·의원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의료보험 수급과도 밀접하다. 해당 국정감사장에서 여야 국회의원들이 공히 목소리 높여 질타하는 이유다. 게다가 응급의학과는 일이 보통 고되지 않아 의대 학생들조차 기피하는 3D 분야로 꼽히고 있다. 환자가 증상의 경중에 따라 분산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서둘러 제시해야 한다. 과다 진료에 따르는 손실을 막고 환자의 증세에 적합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돼야 하기 때문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