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 총선
  • 총선
  • 총선
  • 총선
사설

[사설]강원경제 비전 찾기, 산·학·연 공조로 `선택·집중'을

도의 경제정책 근간을 새롭게 모색하는 방안을 공론화하는 현실 분석·성찰이 주목하게 한다. 지난 3일 강원도와 강원연구원이 주최한 '2020 강원경제 대진단' 포럼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 한국은행 등 경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한 현실을 극복하는 대책을 지역에서 선제적으로 모색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과 산업구조의 획기적 개선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포럼의 주제인 '2020 강원경제 대진단, 여건과 대응'에서 읽히듯 목적을 이뤄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한 현실 진단은 냉정했다. 내외 여건, 세계적인 현상과 국내 경제 현실은 성장 둔화다.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2% 내외, 2020년 2.3%로 예측한 대로다. 그래도 완만한 수준일지언정 올해보다 내년 경기전망은 회복세를 예상하게 된다. 하지만 도 인구 고령화를 감안하면 소비 증가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재생산 여력을 기대할 수 없는 악순환이다. 경제·산업구조를 새롭게 구축하는 일이 당면과제다.

도는 10년 전, 2009년 6월부터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에 주력해 왔다. 선도산업지원단을 꾸려 프로젝트별로 4개 테마별 권역과 핵심 사업을 지목, 활성화에 진력했다. 그러나 일정 부분 성과도 있었지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이 활착됐다고 자부할 수 없다.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단적인 사례가 제조업 실태다. 강원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고작 9.3%, 전국 평균(30.3%)보다 훨씬 낮다. 되레 1985년 강원경제에서의 비중 13.6%보다도 감소했다. 도 산업구조의 취약성이다. 제조업의 방점인 실물생산·고용창출 등 경제활동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퇴보나 다름없다. 관광·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반갑기만 한 게 아닌 이유다.

결국 '건설업과 서비스업 위주인 현 산업구조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경기 의존도를 낮추고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방편이다. 정부가 배려하면 나아지고 아니면 다시 침울해지는 경제체질은 그야말로 '허약'인 탓이다. 그런 측면에서 주목하게 하는 것이 경제현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다. 지역 고유의 경제통계를 정밀하게 수집하기 위해서다. 진단이 정확해야 올바른 처방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신뢰성 높은 통계 도출 방안이 두루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지역의 경제 환경을 감안한 현실 판단, 전망까지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한 산·학·연 공조체제부터 충실하게 갖출 것을 당부한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