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설

[사설]문 대통령·여야 대표 회동, 대화의 정치 복원 계기로

2018년 '국정협의체' 첫 회의 후 1년6개월 만에

좋은 소식 기다렸던 국민 기대에는 미흡

일회성이 아니라 수시로 만나 국정 논의해야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28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하며 국정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문 대통령이 여야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2018년 11월5일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첫 회의 이후 1년6개월(566일) 만이다. 이날 회동에서 좋은 소식을 기다렸던 국민의 기대에는 미흡했지만 그럼에도 국정을 책임진 대통령과 그 대척점에 있는 제1야당 대표가 소통의 물꼬를 튼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 이번 회동을 계기로 앞으로 자주 만나야 한다.

즉, 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가 마주 앉아 국정을 협의한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 것이다. 국민은 국정의 핵심 파트너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서로 얼굴을 마주하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정치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이 주목되는 것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심각한 경제난 속에 이뤄졌기 때문이다. “먹고살기가 점점 팍팍해진다”는 아우성이 곳곳에서 쏟아지고 있다. 경제 살리기에는 여야가 따로 존재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이 이날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초당적 협력과 3차 추가경정예산안 신속 처리 등을 당부한 배경이다. 경제를 회복시키는 방법에는 여야의 입장이 다를 수 있다. 한 번 만나 단번에 복잡한 경제 현안의 공통해법을 도출해 내리라고 기대하는 건 무리다. 다만, 서로 동의할 수 없더라도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자리는 중요하다.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서로 만나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것이 비단 경제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공공, 노동, 금융, 국방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있다. 어느 것 하나 녹록한 것이 없다. 대통령과 여야가 협력해도 가능할지 의문인 것이 한둘이 아니다. 그렇지만 이번 회동의 1차적 의미는 특정한 합의 여부가 아니라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국정 현안을 두고 진지한 대화를 나눴다는 점에 있다. 대통령과 야당 사이에 국정에 대한 공감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작은 주춧돌을 놓았다면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

대통령이 수시로 야당 대표나 여당 대표와 만나 국정 현안과 입법 등을 논의하는 것은 극히 정상적인 일이다. 이번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이 일회성, 이벤트성에 그치지 않고 대화와 공존의 정치를 복원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그러려면 신뢰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 합의 사항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지켜져야 하고, 이견을 노출한 사안에 대해서도 최대 공약수를 찾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얼굴을 맞대는 것보다 나은 소통 방법은 없다. 필요할 때마다 만나야 해답이 보인다. 상생의 길도 그래야 뚫린다. 회동을 이어가다 보면 불신의 벽을 낮추고 꽉 막힌 국정을 대화로 풀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만 되면 더 이상 정치가 국정과 나라 경제의 발목을 잡는다는 소리를 듣지 않게 될 것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