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설

[사설]원주·영동권 감염병 대비한 치료시설 마련돼야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음압병실 확충사업 공모 결과 강원도 내에서는 강원대병원이 유일하게 선정됐다. 원주의료원과 국군강릉병원은 제외됐다. 당장 코로나19 2차 유행에 대비한 원주권과 영동권역의 공공의료기관 음압병상 확보가 코앞의 과제가 됐다. 도가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지만 올해 안에 새로운 시설을 확충하고 전문 의료진을 충원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집단감염 발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병실과 병상 확보를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

면적이 넓은 도의 경우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국가지정 병상을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실제 올 1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 의심환자로 신고된 15개월 영아의 경우 기독병원이 도내에서 가장 많은 8개의 음압격리병상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음압병상이 3개뿐인 춘천의 강원대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동거리만 60㎞가 넘었다. 또 도내에서 밀려드는 환자로 국가지정 격리병상인 강원대병원에서는 환자가 대기하는 일까지 빚어졌다. 감염병 환자의 경우 동선과 접촉을 줄이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치료시설이 없어 장거리 이송 등으로 도민들의 소중한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도내 감염병 대응 의료보건시스템이 적절한지 총체적인 점검과 함께 치밀한 전략을 마련해야 할 때다. 현재 도내는 음압병상은 물론 음압병상에서 환자들을 전담할 의료진 등도 부족한 실정이다. 지역사회 확산 등의 문제가 생길 경우 환자 수용뿐 아니라 자체 대응이 쉽지 않다. 도 방역 당국의 고민이 커지는 이유다. 따라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음압병상 등 전문치료시설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여기에 감염병 협력 네트워크를 만들어 부족한 의료진과 치료시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2002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 2019년 코로나19 등 새로운 감염병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도내 보건진료시스템 정비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지금의 임시 처방으로는 결코 대응이 쉽지 않다. 특히 코로나19는 올가을 제2의 대유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과거 감염병들이 그랬듯이 2차 대유행은 이전보다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예상이다. 이에 맞서려면 1차 방어선 역할을 하는 국가지정 공공병원을 더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 의료인력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도민들이 병원을 찾아 도로를 떠돌며 시간을 허비하는 일이 더는 반복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