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건/사고

“멧돼지 전파 가능성 희박” 환경부의 오판 `ASF 사태' 키웠다

철원서 돼지열병 멧돼지 발견

초기 '멧돼지 집중 총기포획' 강원도·軍 조치 환경부가 막아

환경부 “전파 가능성 부인한 것 아니야…접경지역 경계 강화”

속보=지난 11일과 12일 이틀 연속 철원군 민통선 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가 발견되면서 도내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에 대한 위기감이 한층 더 높아졌다. 더욱이 환경부가 그동안 멧돼지에 의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전염 가능성을 소극적으로 평가해 사태 확산에 대한 책임론이 일파만파 확산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17일 경기도 파주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발병(본보 9월18일자 1면 등 보도)했을 당시 “파주 발생 농가 주변 현황을 긴급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지대로 주변 구릉지는 소규모로 단절돼 있어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낮고 마을 이장도 해당 지역에 멧돼지 활동이 없었던 것으로 전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에도 전문가들은 환경부의 이 같은 대응에 의문을 나타내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이전부터 수차례에 걸쳐 멧돼지 개체 수 조절을 권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강원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민통선 인근 군부대와 함께 집중적으로 멧돼지를 포획하려고 했으나 환경부가 총기 포획을 금지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집행이 불가능한 상황이 만들어지면서 계획이 무산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민통선 일원에서 바이러스가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준영 대한수의사회 부회장은 “단순히 멧돼지가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새를 비롯한 짐승들이 감염된 멧돼지 등을 먹고 바이러스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 조치”라며 “북한에서의 전파 위험성이 매우 높은 강원도 접경지역 모든 양돈농가에 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그물을 설치해 전파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멧돼지에 의한 확산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한 한돈협회도 12일 성명서를 내고 “멧돼지를 보호한다는 환경부서가 멧돼지를 살처분하는 강력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을지 심히 의심스럽다”며 “멧돼지 방역관리 업무를 수의방역 업무부서인 농림부로 즉각 이관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야생멧돼지 전파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한 것은 파주 발생농가에 대한 멧돼지의 서식환경을 설명한 것으로 발병 가능성을 부인한 것은 아니다”라며 “다른 매개체에 의한 간접 전파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접경지역에서의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박서화기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