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스포츠일반

[평창 넘어 세계로]4개 경기장 운영비 지원 요청 정부 외면

사후활용 방안 지지부진

◇강릉 올림픽파크 내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아이스아레나(왼쪽부터 시계 방향)와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하키센터의 모습. 강릉=권태명기자

기재부 국가대표 훈련시설로 쓰며 사용료 지불한단 입장

조직위 관리시설 모두 활용 가능함에도 철거수순 밟게돼

평창동계패럴림픽 폐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동계올림픽 경기장 및 시설 사후활용 방안 마련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사후활용의 핵심인 '운영비 국비 지원'에 기획재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12개 경기장 중 현재 상황이라면 도에서 관리해야 하는 시설은 7개소다. 스피드스케이팅, 강릉 아이스하키,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정선 알파인경기장 등이다. 도는 이 중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4개 경기장의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이들 시설은 일반인이 이용하기 힘든 전문체육시설로 국가대표 훈련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논리다. 이를 위해 사후활용에 필요한 예산 연 58억원 중 75%를 국비로 지원해 달라는 입장이지만 기재부는 타 경기장 시설과 형평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대신 국가대표 훈련시설로 활용하며 운영비 지원이 아니라 선수들이 실제 사용하는 일수만큼 사용료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도는 이에 대해 도가 시설을 운영하며 개별 입장료를 받는 것과 뭐가 다르냐며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도와 별도로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가 관리하는 시설 역시 사후활용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조직위는 올림픽 개·폐회식장, 평창조직위 사무소, 국제방송센터(IBC) 등 3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모두 대회 후 철거를 목적으로 조립식 시설로 설계됐다. 하지만 구조가 튼튼해 반영구적 건물로 활용해도 문제가 없는 시설들이다.

개·폐회식장은 오는 19일부터 철거에 들어간다. 단, 스타디움의 본관동 3층까지는 존치해 향후 올림픽 기념관을 건립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조직위 사무소와 IBC는 일단 오는 6월까지 시설 인수자가 없을 경우 철거 수순을 밟는다.

이성현기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