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재배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고성군 산불피해지에서 3년 연속 송이 발생에 성공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고성 지역에 송이산 복원을 위해 2007년 송이감염묘 27본을 이식한 바 있다.
2023년 첫 송이 5개체를 시작으로 2024년 1개체, 2025년 11개체가 추가로 확인, 인공재배 기술의 안정성을 입증했다.
또 국립산림과학원은 생물 신분증 역할을 하는 ‘SSR마커’를 이용 DNA를 분석한 결과 송이 발생지인 고성과 감염묘 육성지인 홍천 시험지의 송이 유전형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는 감염묘가 실제 송이 발생에 직접 기여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사례다.
한편, 홍천 송이감염묘 시험지에서는 2010년 첫 송이가 발생한 후 2017년부터 2025년까지 9년 연속 송이가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17개체보다 약 58.8% 증가한 27개체의 송이가 새로 발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송이 발생 시기에 적절한 기온과 수분 조건이 갖춰졌다고 보고 간벌, 가지치기 등 산림 관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송이 발생이 용이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박응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장은 “고성과 홍천 사례는 송이 감염묘가 송이산 복원과 확대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방법임을 입증한 것으로 앞으로 기술 보급을 확대해나가면서 송이산 조성을 촉진해 임업인 소득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