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급 실력을 갖춘 강원 출신 체육선수들이 부족한 연봉과 실업팀 부재 탓에 타 지역으로 둥지를 옮기고 있다. 26년 만에 전국체전 '종합 6위'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강원 체육계의 성장 기반 조성을 위해 인재 유출 방지책이 요구된다.
12일 열린 강원특별자치도의회의 도체육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공개된 도내 국가대표급 유출 선수는 총 10명이었다. 이 중 8명이 '고액 연봉'을 이유로 수도권과 부산, 충남, 울산, 대전 등지로 팀을 옮겨갔다. 일부 선부는 도내에 실업팀이 없어 강원을 떠났다. 대학 재학을 위한 유출도 있었다.
인재 보호를 위한 도체육회-시·군간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박호균(국민의힘·강릉) 의원은 "큰 자본을 갖춘 프로팀으로 옮겨가는 걸 막는 건 어렵더라도 기초지자체로의 유출은 도체육회 관심과 지원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선수·지도자 수준에 맞는 연봉 지급을 강조한 조성운(국민의힘·삼척) 의원은 "내년도 예산 편성에서 현장 인력의 처우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지적들에 도체육회는 유도·수영 등 종목에서 최상급 선수를 영입한 데다 선수 및 가족, 지도자 측과 유대감을 쌓는 데 힘 쏟고 있다고 답했다. 더불어 시·군 조례 개정을 통한 영입비·연봉 지원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성과에 맞는 적정한 선수·지도자 연봉 지급 관리도 약속했다.
태백시체육회장 성희롱 논란 등에 대한 대응이 소극적이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기홍(국민의힘·강릉) 의원은 "도체육회보다 대한체육회의 대응이 더 빨랐고 결과 역시 '견책'에 그치며 사안에 비해 적절치 않았다"며 도체육회의 고위직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임미선(국민의힘·비례) 의원은 생활체육지도자 처우개선을, 이승진(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은 엘리트-생활체육간 균형적인 지원 예산 배분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