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사회일반

'공습경보' 울리면 어디로?…무용지물 민방위 대피소

건물 관리인도 민방위 대피소로 지정된 지 몰라
전문가 "민방위 대피소 운영 개선 및 확충 필요"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 등 남북관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비상 시 긴급 피난처인 민방위 대피소 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대피소 입구는 상자로 막혀 비상 상황이 발생해도 이용하지 못하는 무용지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강원도에는 2022년 기준 총 656곳의 민방위 대피소가 있다. 대피소는 포격의 파편을 피하기 위한 일시 대피 공간으로 대부분 지하주차장, 대형 건물 지하주차장 등 민간 시설이다.

하지만 8일 춘천지역 7개 민방위 대피시설을 점검한 결과 강원도청과 춘천시청을 제외한 나머지 5개 민간시설 대피소는 '대피소'임을 알리는 표지조차 부착돼 있지 않았다. 지하시설이 대피소로 지정된 A빌딩 관리인은 “우리 건물에는 민방위 대피시설이 없다”고 출입을 통제하기도 했다. 인근 대피소인 B빌딩 역시 대피소로 지정된 지하실 입구가 각종 물건으로 막혀있어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도내 일부 시·군은 행정안전부 권장하고 있는 대피소 면적조차 확보하지 못하는 등 관심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양군은 인구 대비 2만2,985㎡의 민방위 대피소가 필요하지만 확보된 대피소 면적은 1만15㎡에 불과, 43%의 저조한 확보율을 보였다. 이 외에도 영월 46%, 횡성 85%, 화천 94%, 홍천 98% 등 도내 총 5개 시·군이 정부기준보다 대피소 면적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송동우 한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유사 시 대피소 관리인이 정확한 대피 방법이나 건물 내 장소 등을 모른다면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며 "단순히 지하시설을 대피소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수용인원 및 거리 등을 고려한 운영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 비상기획과 관계자는 "민방위 대피소를 포함한 민방위 시설 점검을 지자체에 요청해놨다"며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대피소 갯수가 부족한 일부 지자체는 대피소를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민방위 대피소로 지정되어 있는 강원도청의 충무시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