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청

계획된 간선망, 착공 0건… 고립된 강원 교통지도

[특별기획] 지도에는 있지만, 땅 위엔 없다

강원특별자치도가 2025년 현재까지도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등 국가 교통망에서 사실상 배제된 상태다. 강원 남부 폐광지역과 북부 접경지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속교통망이 연결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원칙 실현을 위해 교통 인프라 불균형 해소가 선결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 육지 속 섬, 강원=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평균 고속도로 접근성은 ‘30분 이내 78%’인데 반해, 정선·태백·양구·고성 등 강원 산간지역은 대부분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교통 소외 지역이다. 더욱이 응급의료시설 접근성도 심각하다. 2023년 기준, 강원 주민의 79.5%만이 30분 이내 응급의료시설에 도달 가능하며 이는 전국 평균 94.0% 대비 14.5%p 낮은 수준이다. 이 같은 고립은 단순 불편을 넘어 응급의료 지연, 출산을 위한 타지 이주, 교육·일자리 접근성 제한 등 삶의 질 전반에 치명적 영향을 준다. 실제로 강원도 내 18개 시군 중 8곳이 연간 출생아 수 100명 이하(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양구·고성·양양)였으며, 2023년 출생아 총 6,600명, 합계출산율은 0.89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 국가 간선망 계획에서도 소외= 정부는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을 통해 남북 10축·동서 10축+6개 방사형 순환망 체계로 전국을 격자형 교통망으로 재편했다. 그러나 강원도에 포함된 주요 간선축들은 대부분 계획 반영에 그치거나 예타를 통과하고도 착공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는 28년 만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지만 착공 일정은 불투명하며, 영월~양구 고속도로는 강원 내륙 남북축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임에도 아직 사전타당성조사 단계에 머물러 있다. 폐광지 산업 대체축으로 제시된 제천~삼척 고속화철도는 아직 국가계획에도 반영되지 않았다.

■ 교통망 없는 산업 전환= 폐광지역은 강원랜드를 중심으로 한 단일 경제 구조의 한계를 이미 드러냈다. 관광, 바이오, 에너지 등 대체산업 전환 논의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접근성의 벽에 가로막혀 실질적인 성과는 미미하다. 접경지역 역시 군사보호구역 완화 등의 조치가 일부 진행되고 있으나, 교통 인프라 부재로 인해 인구 유입과 산업 재편에 실질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길이 없으면 사람도, 기업도 오지 않는다”며 “교통망 구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조건”이라고 강조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