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사설

[사설]물가는 치솟고 소득은 추락, 민생이 무너진다

최근 3년 도내 소비자물가 9.9% 상승
근로자 임금은 6.54% 오르는 데 그쳐
유통구조 개선·맞춤형 물가 정책 펴야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 간의 불균형은 강원자치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강원자치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을 앞서며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근로자들에게 큰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안정과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337만3,947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328만5,138원)과 비교해 2.7% 올랐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 폭은 이보다 1%포인트 높은 3.7%를 기록하며 임금 인상을 무색하게 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3년간 흐름을 살펴보면 이 같은 추세는 더욱 뚜렷하게 확인된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소비자물가는 9.9% 상승한 반면, 근로자 임금은 316만6,772원에서 337만3,947원으로 6.54% 오르는 데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보다 3.36%포인트나 높았다.

이는 강원자치도의 근로자들이 월급을 받아도 물가 상승에 따라 실질적인 구매력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도내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은 2021년 대비 3.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 인상으로 인한 임금의 실질적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의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특히 최저임금의 인상과 함께 물가 상승에 따른 임금의 실질적인 인상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구매력이 유지되고 경제적 불평등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기업들도 근로자들의 노동력에 대한 공정한 보상을 고려해 임금을 조정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때다. 이로 인해 근로자들의 생활은 안정되고 지속 가능한 경제적 발전을 이뤄나갈 수 있다.

그리고 정부와 자치단체, 노동조합 및 기업 등은 협력을 통해 임금과 물가 상승 간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그래야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공정이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우선 정부는 장바구니 등 현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련 품목 수급에 철저를 기하는 등 맞춤형 물가 정책을 펴야 한다. 여기에다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효율적인 유통 시스템 구축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이는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자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정보기술을 활용, 유통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해 재고 관리와 수요 예측을 개선해야 한다. 이는 재고 부족과 과잉을 방지하고 최적의 재고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