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해 1월1일 강릉~부산이 직선 철도로 연결되고, 2028년에는 동해안 최북단 고성에서 부산까지 동해안 철도망이 완성된다. 하지만 부산에서 고성까지 우리나라의 척추에 해당하는 동해안 철도 총 480㎞ 중 유독 강릉~동해~삼척 58㎞구간만 시속 60㎞대 저속 구간으로 남아있다. 동해선 철도 전 구간 중 유일한 미싱링크(빠진 고리)인 강릉~동해~삼척 구간은 동해선 전체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이에 따라 강릉~삼척철도 고속화 사업이 동해안 철도시대의 마지막 퍼즐로 떠오르고 있다.
내년 1월1일 삼척~포항철도가 개통되면 삼척부터 부산(부전역)까지 335㎞가 고속철도망으로 연결된다. 삼척~포항까지 거리는 166㎞에 달하지만 KTX 투입 시 주파시간은 55분대에 불과하다. 포항에서 부산까지는 이미 2021년 고속화철도가 개통했으며 142㎞를 76분에 주파한다.
다만 강릉~동해~삼척 58㎞ 구간은 현재 60분 이상 소요된다. 단선 노후구간으로 KTX도 평균 시속 60㎞로 거북이 운행할 수 밖에 없다.
삼척에서 부산은 산술적으로 2시간대에 도달하지만 강릉~부산은 3시간50분대로 운행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더욱이 2028년에는 강릉~속초~양양~고성을 잇는 동해북부선까지 고속으로 연결됨에도 중간 경유구간인 강릉~동해~삼척 구간 탓에 삼척 이북으로는 고속철 효과가 반감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강원자치도는 정부에 강릉~동해~삼척 철도 고속화사업의 내년 타당성 조사와 설계비 100억원 반영을 요청했다. 다만 현재 막바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 정부안에는 담기지 않았으며 국회 심의 단계에서 반영을 추진 중이다. 예타 조사는 내년 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 절차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내년 국비 확보여부를 장담하기는 어렵지만 전망은 나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내년 예타 결과 발표를 앞두고 예타 통과와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토교통부 등에서도 사업 필요성과 예산 확보 등에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