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에 이어 탄핵소추안 폐기 등 혼란이 지속되자 의료계를 중심으로 후폭풍이 끊이지 않고 있다.
8일 의료개혁 관련 단체인 대한병원협회(병협)와 대한중소병원협회(중소병협), 국립대학병원협회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참여 중단을 선언했다. 차기 의사협회장 출마 후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의협 회장에 출마하는 김택우 강원특별자치도의사회장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며 "국무위원들 역시 이번 결정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계엄을 단호히 거부했어야 할 국무위원들 또한 국민과 국가의 보위를 위한 그들의 책무를 다할 수 없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말했다.
병원협회도 입장문을 통해 "이번 계엄사령부의 포고령이 사실을 왜곡했을 뿐 아니라 전공의를 마치 반국가 세력으로 몰아 '처단'하겠다는 표현을 쓴 것에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존중받고 합리적인 논의가 가능해질 때까지 의개특위 참여를 중단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