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후폭풍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한동훈 대표가 언급한 ‘질서있는 조기 퇴진’(본보 9일자 1·3면 보도) 로드맵을 9일에도 결론을 짓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14일 예정된 두 번째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비상의원총회, 중진 회동을 잇따라 가졌지만 '하야'와 '임기단축 개헌' 등을 놓고 격론만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 친윤계, 임기단축 개헌 vs 친한계, 6개월~1년 이내 하야=당 주류인 친윤(친윤석열)계)는 대체로 '탄핵 반대'를 고수하며 임기단축 개헌 등을 통한 퇴진 시나리오를 거론하고 있다. 임기단축 개헌에 성공할 경우 2026년 6월 지방선거 때 '조기 대선'을 함께 치를 수 있는만큼 혼란을 수습할 시간을 벌 수 있고, 보수진영도 전열을 정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반면, 친한(친한동훈)계에서는 윤 대통령이 조속하게 '하야'해야 한다는 주장에 무게가 쏠린다. 2026년 퇴진은 시기적으로 너무 늦어 국민 정서에 맞지 않고 6개월~1년 이내에 하야하는 것이 사회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다. 친윤계가 주장하는 임기단축 개헌은 야당의 협조를 받기 어렵다는 점도 이유로 내세운다.
친윤계 일각에서는 '하야'를 할 거면 차라리 탄핵을 통해 법리적으로 따져보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하야 시 60일 이내 당장 조기 대선을 치러야 하지만, 후자의 경우 탄핵 심판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최장 180일은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 또 한번 찾아온 '탄핵 표결'의 순간, 선택은=오는 14일 예고된 윤석열 대통령의 2차 탄핵소추안을 놓고도 의견을 모으지 못한 상태다. 지난 7일 1차 탄핵소추안 표결에서는 당론으로 '탄핵 반대' 입장을 견지해 가까스로 가결을 막아냈지만 2차 표결에서도 당론이 모아질지는 미지수다.
친윤계는 이날 역시 표결 불참 당론을 유지해야 한다고 한 반면 친한계는 표결 참여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안에 필요한 여당의 이탈표는 총 8표로 만약 친한계가 일괄적으로 표결에 참여할 경우 가결 가능성이 커진다. 여기에 친한·친윤도 아닌 중립지대에 있는 의원들까지 움직이면 위기감은 더욱 커질 수 있다.
■ 추경호 사퇴로 원내 사령탑 부재···리더십 공백=추경호 원내대표의 사의 표명으로 여당은 현재 원내 사령탑이 부재한 상황이다. 지난 7일 추 원내대표 사의 표명 이후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 등 원내지도부 구성원 전원도 사의를 표명했다.
이를 놓고 친윤계는 추 원내대표의 재신임을, 친한계는 추후 선출 등을 주장하며 한때 갈등을 빚었었다. 그러나 추 원내대표가 이날 "사퇴 의사는 확고하다"고 거듭 밝히면서 결국 국민의힘은 12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기로 했다. 새 원내대표로는 5선의 권성동(강릉) 의원 등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