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지역

수 십억 쓴 춘천 공공 전기자전거 무용지물 되나…운영비 삭감 된서리

전기자전거·전동오토바이 시설, 의회 예산 제동
월평균 수백건 이용에도 7월부터 중단 우려 높아져
의회 “시설 구축 부실 정황, 면밀 검토 우선”

【춘천】 사업비 40억원을 투입해 구축을 마친 춘천 e타봄 전기자전거와 전동오토바이 공유배터리 스테이션이 향후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무용지물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춘천시는 2022년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에 선정, 국비와 시비를 더해 총 120억원을 들여 시민참여형 탄소배출권 플랫폼 기반을 닦아왔다. 시에 따르면 이 가운데 e-타봄 전기자전거와 전동오토바이 배터리공유 스테이션(BSS) 구축에 각각 20억원이 투입됐다.

e-타봄 전기자전거는 시 전역 88개 거점에 거치대가 설치됐고 전용 자전거 400대가 제작됐다. 전동오토바이 시설의 경우 시내 공영주차장 등 22곳에 구축됐다.

하지만 정부 공모 사업이 당장 6월 종료를 앞뒀음에도 향후 운영 재원이 마련되지 못해 시설 가동 중단 가능성이 높아졌다. 시의회가 지난 9일 마무리된 임시회에서 두 시설의 운영비 3억110만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시의회는 시설 구축 사업부터 부실 정황이 의심된다며 예산 승인에 앞서 사업의 타당성 점검이 우선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시는 e-타봄 전기자전거와 전동오토바이 시설이 월 평균 수 백건의 시민 이용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운영을 멈추면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실제 e-타봄 전기자전거는 제한된 가입 조건에도 2,734명이 등록돼 지난달 671명이 이용했고 전동오토바이 시설은 최근 4개월 간 1,321건이 사용돼 월평균 330여건의 배터리 교체가 이뤄졌다. 특히 전동오토바이 시설은 배터리 충전 편의성이 높아 배달업 종사자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협력 기업들과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보겠다”고 했다.

이번 상황과 관련해 예산 심사에 참여한 한 시의원은 “120억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이 소진돼 추가 운영비가 필요해진 원인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크다”고 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