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경제일반

美 15% 관세 적용, 자동차부품업 납품물량 취소되며 '긴장'

7일부터 한-미 상호관세 15% 적용 시작
강원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부품업 우려
일부 업체 납품물량 취소로 자금확보 비상
강원자치도 28일 이모빌리티협회 간담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상대로 부과한 상호관세 15%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7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한국의 양대 수출품인 자동차의 경우 한미 협상을 통해 현행 25%에서 15%로 품목별 관세를 낮추기로 했다. 다만 자동차 관세 인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별도의 행정명령을 발표해야 해 당분간 현행 25% 관세가 계속 부과된다. 현행 50%의 철강·알루미늄 품목 관세도 상호관세와 별개로 유지된다. 연합뉴스

미국의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7일 오후 1시 공식 발효되면서 강원지역 자동차 부품업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직·간접적으로 수출하는 납품 물량들이 취소 또는 연기되는 등 관세 부과로 인한 영향들이 가시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A기업은 현대 전기자동차 제조에 필요한 부품 물량 발주가 8월말까지 전량 취소된 상태로 언제 회복될 지 기약은 없는 상태다.

도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해 직·간접적으로 수출하고 있는 업체는 60여개로 한 해 평균 2조4,000억원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고용 규모도 4,400여명으로 업체들이 관세로 인한 타격을 입게 되면 도내 일자리에 연쇄적으로 불안정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납품을 멈추게 되면 강원자치도 내 중소 업체들은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하고 직원들의 월급 등 고정 지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질 수 있다.

정석한 강원이모빌리티산업협회 전무는 “관세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기자동차 보조금 종료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부품 업체들이 만들어낸 물량들을 납품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무역 상황이기 때문에 업체들은 자금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강원자치도와 한국무역협회 강원본부, 코트라 강원본부,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 유관 기관들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앞서 관세 확정 전 긴급회의를 한차례 연 이후 강원연구원은 기업 영향 분석에 착수, 이달 중으로 △피해기업 일대일 전문가 컨설팅 제공 △신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 전략 추진 △민·관·공 공동 대응 협의체 운영 등을 중심으로 대응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를 비롯한 유관기관들은 오는 28일 원주에서 강원이모빌리티산업협회와 간담회를 열고 기업들의 상황을 진단한다.

백승만 도 기업지원과장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지역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별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