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7일 오후 1시 공식 발효되면서 강원지역 자동차 부품업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직·간접적으로 수출하는 납품 물량들이 취소 또는 연기되는 등 관세 부과로 인한 영향들이 가시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A기업은 현대 전기자동차 제조에 필요한 부품 물량 발주가 8월말까지 전량 취소된 상태로 언제 회복될 지 기약은 없는 상태다.
도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해 직·간접적으로 수출하고 있는 업체는 60여개로 한 해 평균 2조4,000억원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고용 규모도 4,400여명으로 업체들이 관세로 인한 타격을 입게 되면 도내 일자리에 연쇄적으로 불안정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납품을 멈추게 되면 강원자치도 내 중소 업체들은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하고 직원들의 월급 등 고정 지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질 수 있다.
정석한 강원이모빌리티산업협회 전무는 “관세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기자동차 보조금 종료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부품 업체들이 만들어낸 물량들을 납품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무역 상황이기 때문에 업체들은 자금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강원자치도와 한국무역협회 강원본부, 코트라 강원본부,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 유관 기관들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앞서 관세 확정 전 긴급회의를 한차례 연 이후 강원연구원은 기업 영향 분석에 착수, 이달 중으로 △피해기업 일대일 전문가 컨설팅 제공 △신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 전략 추진 △민·관·공 공동 대응 협의체 운영 등을 중심으로 대응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를 비롯한 유관기관들은 오는 28일 원주에서 강원이모빌리티산업협회와 간담회를 열고 기업들의 상황을 진단한다.
백승만 도 기업지원과장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지역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별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