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오는 10월 국토교통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 관련 정책 용역 결과 발표(본보 지난 6일자 1면 보도)를 앞두고 강원특별자치도내 각 시군이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춘천시는 지난달 말 미래 과제 추진 전략 점검 회의를 열어 정부 공공기관 이전 대응 논의를 본격화했다. 정부 용역이 마무리되기 전인 다음 달 말까지 최우선 유치 기관을 선별하고, 정부 방향성에 따라 유치 움직임을 세부적으로 가져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이전 대상 기관들의 선호도 면에서 강점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주시는 일찌감치 유치 대상 기관 목록을 정비, 중점 대상 35곳과 관심 대상 28곳 등 63곳을 엄선했다. 앞서 원주시는 2017년부터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준비, 2019년 유치전략 연구용역, 2023년 4월 관련 테스크포스팀 구성 등의 절차를 밟았다.
원강수 원주 시장은 "기존 혁신도시로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성사될 경우 현재의 자족 기능 부족과 제도적 미비점이 동반 해결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횡성군은 지난 3월 2차 이전을 대비해 '횡성역사 주변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고시했다. 또 지난 5월 전국 49개 인구 감소 지역 기초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조속한 추진과 인구 감소 지역 우선 이전' 촉구 공동건의문을 마련해 대선공약 반영을 건의했다. 횡성군번영회 등은 '이전 유치 범군민 추진위원회'를 출범, 힘을 보탰다.
강릉시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환경보전협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국민체육진흥공단 등 11개 기관을 우선 유치 기관으로 검토하고 있다. 조만간 TF팀과 유치위원회, 범시민 추진위원회 등을 구성하는 등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다만 일부 자치단체 등은 용역 결과와 정부 반응을 본 뒤 움직인다는 신중한 모습도 보이고 있다.
국방안보건강의료분야 등 총 32개 공공기관을 유치 리스트에 올린 강원도는 최근 상황을 고려, 대상 기관을 재조정중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강원 미래산업과의 연관성, 산업 구조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유치 대상기관에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지방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