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사설

[사설]‘484억’ 국방 방호시험장 춘천 유치 성공하자면

강원특별자치도가 방위산업을 7대 미래 전략산업 중 하나로 정하고 본격적인 산업기반 조성에 나선 가운데, 춘천이 국방기술품질원의 국방 방호시험장 후보지로 부상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특히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시험장 설계비 6억3,000만원이 반영되고, 총 484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라는 점에서 춘천 유치 여부는 향후 강원 방위산업 전반에 걸쳐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 방호시험장은 방탄 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국가 인프라로, 이미 인제군 서화면에 첨단 방탄시험장이 들어서 있으나 시험 수요 포화로 인해 추가 시험장 건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춘천 유치를 목표로 국방 방산 클러스터 구축, 국방경제 활성화 전략과 연계한 유치 로드맵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설득전에 돌입했다.

춘천은 국방 관련 기관과 인프라가 집적된 지역으로, 인근 인제의 기존 시험장과의 연계 가능성, 교통 접근성, 안정적인 부지 확보 측면에서도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시험장 유치는 단순히 하나의 공공시설 유치에 그치지 않는다. 차후 방산 연구개발(R&D) 거점과 중소 방산업체 육성, 첨단 소재 및 부품 산업 확장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 초석이 된다. 문제는 경쟁이다. 현재 대전, 경북, 전북, 경남 등 타 시·도가 방위산업 육성에 공을 들이며 치열한 유치전에 나선 상태다. 특히 방산시설은 주민 수용성, 지리적 조건, 기존 군사시설과의 시너지 등 복합 요소를 고려해 선정되기 때문에 경제논리로만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도와 춘천시는 정부와 국방부,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을 대상으로 지역의 강점과 유치 당위성을 정교하게 설명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 정치권과 산업계, 학계의 협력도 필수다. 이번 예산안 반영을 계기로 춘천 유치를 가시화하려면 몇 가지 전제조건이 따라야 한다. 우선 주민과의 충분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이다. 방음 등 환경적 고려가 전제된 시설임에도 주민 우려가 있다면 이를 해소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 해당 시설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효과를 구체적 수치로 제시해 설득력을 높여야 한다.

더 나아가 중장기적으로 춘천이 방산 테스트 허브로 기능할 수 있도록 인근 대학, 연구소, 기업들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방경제’라는 새로운 개념을 주창하며 방위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는 도의 구상은 타당하다. 이제는 그 전략을 현실화하는 구체적 성과가 필요한 시점이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