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업 중 북한으로 끌려갔다가 귀환해 간첩으로 낙인 찍혔던 피해자들의 고통을 공유하고 공동체와 함께 회복의 역사를 다시 쓰기 위한 북콘서트가 열렸다.
강원민주재단은 11일 춘천문화원 2층 학이실에서 납북귀환어부 구술집 '납북귀환 후의 피해와 회복 2권' 북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피해자 명예회복 현황을 공유하고 비극의 반복을 막는 ‘납북귀환어부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책에는 김창권, 조광수, 이오현, 강정일 등 10명의 증언이 담겼다.
1부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춘천갑)의 축사 영상에 이어 내빈 소개와 기념사가 진행됐다.
하광윤 강원민주재단 상임이사는 “50여 년간 국가에 의해 중첩피해를 입은 납북귀환어부들이 생존해 계실 때 명예회복과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오제연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장은 납북어부 피해의 이면에 한국 사회의 냉전 구도를 짚으며 이를 개인의 잘못이 아닌 국가폭력의 결과로 규정했다.
오 소장은 “북한에 납치돼 돌아온 뒤 마주한 것은 간첩 낙인과 혹독한 고문이었다”며 “진실 규명과 함께 명예회복·피해보상을 위한 특별법이 조속히 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부에서는 피해자 증언과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납북귀환어부 피해자들도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는 무엇보다 속도가 정의라고 지적했다.
2000년대 후반 처음으로 피해 사실을 증언한 김창권 씨는 “재심 당시 가장 힘들었던 건 재판이 길어진 것”이라며 “주변에서 왜 국가와 싸우냐는 모멸적인 시선을 받기도 했지만 지금은 납북 피해를 공유할 수 있어 뜻깊다”고 말했다. 그는 진실규명과 재판, 손해배상까지 이른바 사건이 완결된 피해자 중 한 명이지만 여전히 주변 피해자들을 찾아 설득하며 진상규명을 돕고 있다.
김아람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사각지대에 놓여 피해 규명이 어려운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며 “특히 북에서 월남한 어부가 다시 납치된 경우 출신지에 따라 가혹행위가 더 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계에 놓인 납북귀환어부의 진상규명과 피해 회복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법 제정을 위해 범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은 "영화와 드라마와 같은 예술로 역사를 승화키셔 국민적 공감대를 넓히고 특별법 제정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난달 28일 허영(춘천갑) 더불어민주당 정책수석이 특별법 제정을 약속하면서 '납북귀환어부 특별법'을 둘러싼 지역 사회의 기대감이 크다.
행사에는 하광윤 강원민주재단 상임이사, 엄경선 납북귀환어부 피해자 시민모임 운영위원,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 김아람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아시아문화연구소, 유명희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장, 오제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장과 납국귀환어부 피해자인 김창권·김자송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