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에서 발생한 산업재해가 전년대비 3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1~9월 산업재해현황(재해조사대상 사망사고 기준(잠정))’에 따르면 올해 1~9월 도내 산업재해 발생 건수는 지난해보다 31.6%가량 늘어난 25건이었다. 같은 기간 산재사고로 숨진 근로자들은 25명으로 집계, 1년 새 25% 증가했다.
발생 건수는 떨어짐(27.2%), 물체에 맞음(16.0%), 부딪힘(13.6%), 끼임(12.0%), 깔림·뒤집힘(10.4%) 순으로 조사됐다.
사례를 살펴보면 지난 5일 인제지역 건물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가 구조물 상부 철판 설치 작업 중 철골 위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1일에는 원주지역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토사 반출 작업 중 적재암에 부딪히는 사고가 일어나는 등 지역 내 산재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건설현장 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강경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이에 건설업 등 관련업계에서는 처벌 위주의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예방보다는 사후 처벌에 집중되는 분위기 조성은 근본적인 원인 해결이 아닌 업계 위축을 불러온다는 것이다.
대한건설협회 강원특별자치도 관계자는 “도내 중소건설업체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인력과 자금력의 부족으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에 비교적 어려운 여건에 있다.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