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곳곳에서 노후 상하수도관으로 인한 누수와 지반침하가 잇따르면서 ‘늙어가는 지하시설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7일 오후 1시께 춘천 팔호광장 인근에서 상수도관이 파열돼 누수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주택가 인근 도로에 물이 쏟아지고, 30여분간 단수 조치가 이뤄지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춘천시는 이날 오후 5시부터 복구 작업에 착수해 다음날 0시께 공사를 마쳤다. 시는 노후된 수도관이 파열됐을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중이다.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강원도에 매립된 수도관로의 총 길이는 1만5,296㎞이다. 이중 21년 이상 지난 노후관(경년관)은 35%(5,385㎞)에 달한다.
올해 강원도는 노후 상수도 현대화 사업에 912억원을 투입해 내구연한을 초과한 노후 재질관과 노후 정수장을 개량하는 등 시설 개선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노후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려운 실정이다.
도내에서 최근 6년간(2018~2024년)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 111건 중 41%(46건)가 상하수관 문제가 사고 원인으로 파악됐다. 올해 2월 강릉시 포남동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역시 상수도 손상으로 인한 지하수 누수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강원도의회는 올해 6월 지하시설물 사고 예방을 위해 ‘지하안전관리위원회’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가결했다. 위원회가 지하안전관리계획 수립과 예방대책, 위험지역 관리, 교육 및 홍보계획 등의 사항을 심의하며 사고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도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 직권 현장조사 권한을 신설했다. 오는 9월 이후에는 강원도를 찾아 ‘지하안전 릴레이 설명회’를 열고 안전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김용래 도의원은 “전국적으로 싱크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강원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맞춤형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며 “도 차원의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지하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