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주택사업경기전망이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6·27 대출 규제와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인허가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하는 ‘9.7 부동산대책’으로 강원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에 따르면 이달 도내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달대비 4.5포인트 떨어진 55.5로 집계됐다. 강원지역 전망지수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60선을 밑돌았으며,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전년대비 하락폭은 전국 평균(-11.2포인트)보다 4배나 높은 -44.5포인트에 달했다.
이는 대출 규제 강화 등 주택가격 반등을 위한 동력이 부족한 가운데 수요 부진과 미분양 물량이 지방에 집중되는 등 구조적 침체가 장기화된 데 따른 것이다.
더욱이 지난 7월 기준 강원지역 미분양 물량이 3,348가구에 달하는 등 5개월 연속 3,000가구를 넘기고 있는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인 일명 악성 미분양도 845가구에 달하며 지난해보다 60.3%나 급증했다. 악성미분양이 크게 늘면서 지역 건설사의 현금흐름 악화도 심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신규 주택공급도 위축돼 지난해 7월 6,662가구였던 도내 누적 인허가는 1년 만에 3분의 1 수준(2,137가구)까지 줄었다.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세컨드홈 세제지원 확대, 악성 미분양 주택 취득 시 세부담 완화 등의 내용이 담긴 8.14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비롯해 미분양 해소 및 수요 진작을 위한 정책을 잇따라 발표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랭한 상태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이같은 정책이 단기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일부 완화하는 것에 그칠지, 장기적으로 건설경기의 구조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