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인물일반

[제9회 신사임당미술대전]“스승 작품 거울삼아 완성도 높였다”

대상 수상자 김소선씨

조소 ‘본질로의 회귀’로 4번째 도전만에 제9회 신사임당미술대전 대상을 수상한 김소선(여·26·강릉시신석동)씨는 “운이 좋았다.

정말 기분이 좋다”는 말로 수상소감을 대신했다.

강릉대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조소를 전공한 김씨는 “스승인 김창기 교수님의 작품을 거울삼아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5시까지 규칙적인 작업을 하면서 마무리 완성도에 중점을 둬 작품들이 깔끔하게 나오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여성 조각가로는 드물게 조각 재료를 돌로 선택한 이유를 묻자 “여자라고 못할거라는 편견도 깨고 싶고 돌이 가진 불변성에 매력을 느낀다”고 말했다.

내후년쯤 개인전을 목표로 열심히 작업을 하고 있다는 김씨는 “졸업 후 작업에만 몰두하면서 신사임당미술대전, 소사벌미술대전에서 특상을 수상한 것이 유일했는데 앞으로 더 노력해 국전에도 도전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심사평

제9회 신사임당미술대전은 8개 분과에 걸쳐 622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양적이나 질적으로 예년보다 향상된 수준이고 8개 분과 위원장이 최종 대상을 추천하고 4차에 걸쳐 투표한 결과 조각분야에서 대상이 결정됐다.

대상을 받은 김소선씨의 조소 ‘본질로의 회귀’에 대해 심사위원들은 “작품 내용과 조형적 기법, 표현능력이 뛰어나 공공장소의 조형물로서도 손색이 없는 역작”이라고 평가했다.

한국화 최우수상 작품에 대해서는 옛날 책거리 풍경을 현대적으로 표현했고 서양화부문 최우수상은 밀도있는 데생력과 인물묘사가 훌륭했다고 평했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류종민 중앙대명예교수는 “전국규모의 역량있는 39명의 심사위원이 진지하고 공평한 심사에 임해준 점에 대해 심사위원장으로 감사를 드리고 신사임당미술대전의 밝은 장래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강릉=조상원기자



명단



제9회 신사임당 미술대전 입상자

◇대상

▼조소 부문 △김소선(본질로의 회귀)



◇최우수상

▼한국화부문 △김수정(호접지몽)

▼공예부문 △원종주(아낌없이 주는 나무)

▼서양화부문 △정재승(시장)

▼디자인부문 △최명순(power of culture (박상규·최명순))

▼수채화부문 △손병순(회상)

▼문인화부문 △권혁진(묵죽)

▼서예부문 △황진수(율곡선생시 坡山奉呈聽松成先生)



◇우수상

▼한국화부문 △김태분(문경용추계곡)△신남숙(재회)△김계인(한송이 꽃처럼)

▼공예부문 △방경혜(ntitled-2008)△안용현(혼돈)△김재윤(하늘을 품은 바다)

▼서양화부문 △김정남(관조08729)△유승옥(가을 끝자락)△김영인(여름)

▼디자인부문 △안상근(쌈쥐)△권혜진(신사임당미술대전(임지나·권혜진))△오윤길(몽스터)

▼조소부문 △곽소정(날아보자!!)△이정석(어차피 흐르는 물)△이선희(생명이 없는 것에서 인간의 형상보기)

▼수채화부문 △조동선(병지방의 여름)△이계순(휴식)△최창순(토담골에 봄은 오고)

▼문인화부문 △심재희(감)△주명자(목단)△정정숙(부엉이)

▼서예부문 △김남희(어촌선생시)△차부남(성경말씀)△정경희(가을)



◇특선

▼한국화부문 △최미선(유록화홍)△홍미희(꽃)△송현주(가을의 클래식)△심용자(향수)△허경미(선유동 계곡)△서상우(기다림)△이윤재(그곳에 가면)△김강덕(눈물 )△유민서(흔적)△최행자(휴식)△김다은(지루한 이야기)△윤옥자(다은이와 고양이)△이영섭(산길)△장순영(치산계곡의 겨울 )△최귀남(가을 휴식)△박윤경(어떤 그리움)△연보라(계념)

▼공예부문 △이명아(만감)△최대성(하루아침)△전효준(민들레)△류경민(streaming(휘날리며))△김규남(연잎)△이진우(아날로그)△이정은(옛것....그것에서 미래를 보다)△김현정(이질감)△강슬기(broochⅠ.Ⅱ)△김애연(poison)△안재일(날개Ⅰ.Ⅱ)△최지민(축제2008-15)△장덕진(단기어)△서지은(오를승(陞))△전봉윤(밤안개)△한승헌(자화상Ⅰ-Ⅰ)△황주현(바램)

▼서양화부문 △이금란(천년의 향기)△정재숙(지리산의 여름)△이장무(가시고기)△변혜숙(시간의 흐름속에서Ⅰ)△고영숙(秋影)△박미숙(Talking with cells)△원흥연(고향길)△김효성(trauma)△이순복(8월의 속삭임)△임선자(자연 이야기)△진희연(풍경〈잊혀져 가는 그 곳〉)△조창희(情)△정순덕(선교장(활래정))△영인(4월의 봄)△박정미(흔적-아침햇살을 보다)△정희숙(여름날의 기억)△김동희(6월의 고향)△김정아(An absorbing thought)

▼디자인부문 △김일동(동쪽에서 해가 뜬다)△이윤경(Korean Traditional Clothes Exhibition (이윤경 ·박준용))△박근혜(추석(한가위 축제))

▼조소부문 △박관균(조심스레)△김미옥(소통)

▼수채화부문 △조을성(봄에 축제)△송정숙(오래된 기다림)△이경희(가을 여정)△권정애(비오는날의 여유)△김수희(햇살이 머무는 곳)

▼문인화부문 △안영희(포도)△김정금(파초와 국화)△정도자(파초와 황국)△정정숙(유년의 추억(옥수수))△오정옥(묵죽)△곽지연(목단)△박옥자(포도)△남숙자(홍매화)△이정희(포도)△지행자(松)△이지은(묵죽)△전연희(묵국)△전재월(소나무)△김춘영(묵매)△조정자(국화)△이혜옥(묵매)△김남희(연꽃 )△윤종숙(석국)△최행자(호박)△안보경(비파)△김미란(수세미)△박남심(묵죽)△구금선(국화)

▼서예부문 △김정희(이서구선생시)△최은순(만해선생시)△채금례(구봉선생야등광한루)△이하자(退溪先生早春)△문창례(망·용문산)△김문규(기대승시일수)△원정원(율곡선생시)△김진국△이동하(매월당시)△이순옥(九曜堂)△이병준(樊川詩)△박은자(보파선생시)△임길자(어머니 그리워)△이영희(성산별곡)△금경옥(향리도)△전연희(오우가)△오순전(반야심경)△정금화(초원의 빛)△김경숙(서정주님의 국화옆에서)



◇입선

▼한국화부문 △황의환(사인암)△서동진(나를 가두다)△류지헌(사인암)△서수진(사인암)△장태윤(고향길)△윤혜숙(부귀리 일우)△정기옥(침류정)△신수진(보이지 않는 벽)△이현숙(모고헌의 가을)△조원순(승선교)△정소윤(절골)△유은혜(꿈결)△정금순(꿈을 꾸다-Ⅱ)△최현주(심원-마음속의 풍경)△김태선(소나무가 있는 풍경)△최지연(Passionate Love a brilliant tragedy)△이효숙(나른한 오후)△전보나(생과사의 이중주)△정선아(가을이 오면)△최봉림(설악산의 송림)△남윤희(소 식)△김영미(건봉사의 가을)△김복순(고향의 가을)△김미선(전두리)△김수희(회 상)△류다미(꿈속의 정원)△손동환(시골풍경)△김혜경(함양용추계곡)△송시헌(화엄사)△김슬기(나와나의 대화)△백예지(정담)△손정리(담-Ⅲ)△박원진(향수)△신승희(연 이야기-Ⅰ)

▼공예부문 △안재일(바다노을 어둠속의 빛)△이환희(無)△박종만(장수하늘소)△김봉태(꽃담시리즈)△김재인(희망)△허은혜(그리움...)△이선옥(행복한 휴식)△유영임(일탈)△이선이(염원)△김문주(器 )△이종선(선비)△김옥진(주기set)△김명자(천경의 삼중주)△김병욱(자연-상생)△원미선(가을 풍경)△한경희(연꽃)△최선희(熱情(열정))△김영임(꽃보라)△엄영순(신사임당의 얼을 땀땀이 담아)△이진향(나비장)△이진향(호족서랍장)△장윤승(공간)△민홍기(전통과의 소통)△안솔지(지효)△박인숙(세모보자기에 마음을 맡기다)△허순남(내 영혼의 봄)△황영롱(생명(Life))△김혜림(자연속으로)△김현정(line)△변현수(차가운 눈동자)△김정호(세례)△박별이(꽃잎)△강현정(식물 나비가 되다ⅠⅡ)△조윤숙(가을비ⅠⅡ)△강슬기(DNA ⅠⅡ)△위제숙(귀여운 여인)△전희진(The life is.....Ⅰ Ⅱ)△김애연(바람의 숨결 Ⅰ Ⅱ)△김교식(고주망태)△박미향(秋 ...

...그리고)△장미선(반디지 collection)△이수복(2008.0930)△최지민(축제2008-20)

▼서양화부문 △정대상(정지된 시간)△김봉심(Evolution - 08)△최선영(사슴을 보다)△박지원(햇살 좋은 날)△하정미(겨울 이야기)△오성진(cafe terrace)△차윤미(Present(give you))△최태분(여정의 왈츠)△정선주(생각이 나질 않아)△최윤정(리듬의 기술)△이무락(밀양의 잔설)△김민숙(농촌의 추억)△변양임(솔(평화를 갈망하다))△김경옥(지난여름 이야기)△이영미(생명)△김인숙(빛, 바람 그리고 향기)△김연옥(소주명의 美)△김명자(지은이의 생각)△이보형(일상-휴식)△이복희(여름날의 이야기)△김수연(애환)△손민자(가을의 낭만)△이은숙(인생길 가는 동안)△안정자(아들바위)△김인애(무의식의 세계)△김소연(혼돈)△함송희(동해 묵호항)△박무현(memorabilia)△이경순(출항을 기다리며 )△이민아(그 해 여름)△최정원(희 망)△남윤희(인구바다)△최승열(나)△박영옥(바람의 노래)△나강미(대화)△장미아(군상-정문의 공간)△김영길(사리암 계곡 )△손수경(보라빛 향연)△고정희(봄)△조진주(자연으로부터Ⅰ)△최준호(대관령에서 바라보다)△유상열(가을의 소야곡)△강주옥(출행)△김부동(큰물졌던 계곡)

▼디자인부문 △홍현상(History of audio)△탁경현(Style of Korea (임영희·탁경현)△심지예(Korea Festival)△임영희(Exciting KOREA (임영희·탁경현)△안재현(정선아리랑제)△추승식(즐거운 우리말(추승식·김한용)△김한용(5천년의 역사(추승식·김한용)△김일동(달마도)△임지나(어딜감히 (권혜진·임지나))△탁동혁(어머니 그리고 아들)△박상규(Welcome to visiting Korea (박상규·최명순))△박준용(한글, 떠오르다!(이윤경·박준용))

▼조소부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