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흘새 4명 번개탄 이용 목숨 끊어
"구입시 신원 확인 제도 도입해야"
악성 바이러스처럼 번져 나가는 죽음의 연기 '번개탄 자살'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6일 정선에서 30대 남성이 차량 안에 번개탄을 피워 숨진 채 발견됐다. 15일에는 영월에서, 8일에는 원주에서, 6일은 춘천에서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불과 열흘 새 도내에서만 4명이 번개탄으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은 수년간 급증하는 추세다.
도자살예방센터에 따르면 2007년 도내 번개탄 자살자는 4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2008년 가을 배우 고(故) 안재환씨가 이 수법으로 숨진 후 2009년 37명으로 9배나 증가했다. 2013년에는 도내 66명이 번개탄을 이용해 목숨을 끊었다. 전국적으로 2007년 96명이었으나 2013년에는 1,846명으로 19배나 늘었다. 전문가들은 번개탄의 경우 다른 자살 수단에 비해 죽음의 공포가 덜하고, 별다른 완력 등이 필요 없으며 쉽게 구할 수 있다는 특성에 주목한다. 번개탄이 노인자살과 동반자살에 자주 등장하는 이유다. 실제로 2013년 도내 60세 이상 노인 8명, 전국은 167명이 번개탄을 사용해 자살했다. 이로인해 부산과 경기지역에서는 번개탄의 구매를 제한하거나 자살예방 문구를 삽입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아직 도내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이강욱(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도자살예방센터은 “번개탄의 매장 진열을 금지하거나 더 나아가 위험물질로 취급해 구입시 신원을 확인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