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문화일반

양양군 진전사지에서 6세기 후반 제작 국보급 금동삼존불 출토 비상한 관심

 

 양양군 강현면 진전사지에서 6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금동삼존불이 출토돼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양양군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한 불상은 높이가 8.7㎝로 성인 손바닥 크기로 삼국시대 불상이 많지 않고 출토지가 명확하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국보급으로 평가된다.

 양양군은 국강고고학연구소와 지난 7월부터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22호) 주변에서 발굴조사를 벌여 왔으며 석탑 북쪽에 묻혀 있던 삼국시대 금동보살삼존불입상(金銅菩薩三尊佛立像)을 찾아냈다고 16일 밝혔다.

 이 불상은 불꽃무늬인 화염문이 있는 광배(光背·빛을 형상화한 불상 뒤쪽의 장식물)의 위쪽 일부와 받침대 역할을 하는 연꽃무늬 좌대가 조금 떨어져 나갔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또 본존불을 중심에 두고 좌우에 보살을 배치하는 삼존불이지만 본존불에 부처가 아닌 보살을 둔 점이 특징이다.

 관음보살의 머리와 몸에서 나오는 빛은 양각으로 표현됐고 관음보살이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 위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부처인 아미타 화불(化佛)이 있는 점이 독특하다. 

 아울러 관음보살은 다섯 손가락을 편 손을 가슴까지 올렸으며 보살상이 입고 있는 천의(天衣)는 좌우로 퍼지는 형태로 조각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 불상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과 좌대, 옷 주름이 유사하다”며 “세 가닥으로 올라간 보관, 옷 주름, 화불 등으로 미뤄볼 때 6세기에 만들어진 세련된 불상이다”고 했다. 양양=박기용기자 kypark901@kwnews.co.kr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