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대책위 “발전 재개 여부 조속히 결정해야” 주장
수질 유지 관건…한수원 “다각적으로 방안 찾는 중”
[강릉]20여년간 발전방류가 중단된 도암댐의 재가동을 놓고 공론화 논의가 강릉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재점화되고 있다. 재가동 논의의 핵심은 수질 개선 여부가 관건이다.
강릉수력발전소 문제해결 주민대책위원회 측은 20년가량 발전이 중단된 것은 지역과 국가적으로 손실이 크다며 발전 재개 여부를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발전 중지 후 남대천의 건천화로 환경은 더 악화되고 있어 악영향이 발생하고 있다”며 “발전소 직원과 가족들이 빠져나가면서 지역 침체가 심화하고 있어 관광자원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상류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토사 유입 등으로 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수질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으로 맞서고 있다.
이에 현재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측은 수질 개선제인 '루미나이트' 를 투입, 도암댐 수질 개선 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세웠지만 댐 하류 지역에서 수질 개선제 사용에 반발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한수원 측 관계자는 “도암댐은 상반기 2급수 수질을 유지하지만 장마철 등에는 흙탕물 유입 등으로 수질 유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비점 오염 저감사업과 함께 퇴적물 준설 작업 등 다각적인 부분에서 수질 개선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1991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도암댐을 완공한 한수원은 15.6㎞의 인공수로를 통해 물을 남대천으로 방류하면서 강릉수력발전소에서 연간 1억8,000만㎾급 전력을 생산했다. 하지만 수질오염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2001년 3월 발전을 중단했다.
이후 시민사회단체들이 발전 방류를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1년 내내 2급수 이상의 수질을 유지하라는 강릉시와 홍수철인 7~8월을 제외한 시기에만 2급수를 유지할 수 있다는 한수원 측이 접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김천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