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정 기간 안에 입양을 취소하든지, 입양하려는 마음은 강하지만 아이와 맞지 않으면 입양아동을 바꾸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데 대해 야권이 일제히 비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정인이 사건' 대책과 관련해 "입양 자체는 위축시키지 않고 입양아동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선은 학대 아동의 위기 징후를 보다 빠르게 감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학대 의심 상황이 발견되면 곧바로 학대 아동을 양부모로부터 분리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전에 아동을 입양하려는 부모들이 감당할 수 있는지 등을 잘 조사하고 초기에는 여러 차례 입양 가정을 방문해 아이가 잘 적응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정인이 사건 방지책은 결국 '교환 또는 반품'인 것인지 궁금하다"며 "인권변호사였다는 대통령 말씀 그 어디에도 공감과 인권, 인간의 존엄은 없었다"고 밝혔다.
김미애 비대위원은 자신의 SNS에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도 아니고, 개나 고양이도 아니다. 개나 고양이에도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며 "입양 실무 매뉴얼이라도 확인해보고 말씀하라"고 전했다.
김현아 비대위원은 "사람이 반려동물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는 것 같은 기분"이라며 "꼭 온라인쇼핑으로 사는 물건 취급받는 듯한 나만 화가 나는 이야기인가"라고 말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아동학대를 마치 입양의 문제인 것처럼 말할 때부터 이상했었다"며 "문제는 아동학대이지 입양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나경원 전 의원은 "입양아동을 마치 물건 취급하는 듯한 발언"이라고 전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참으로 부적절한 발언"이라며 "사건의 본질과 심각성을 직시해야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는 법인데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입양이 무슨 홈쇼핑인가"라며 "입양아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입양 부모들에게 사회적 낙인을 찍고, 대한민국의 인권을 봉건시대 수준으로 추락시킨 데 대해 지금' 당장 사과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