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국제일반

억만장자 머스크, 55조원에 트위터 인수 합의…디지털 시장 대변혁 예고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44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인수한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트위터가 자사를 머스크에게 주당 54.20달러, 총 440억 달러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인수 가격은 트위터의 이달 주가에 38%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은 것이다.

트위터 이사회는 매각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으며, 인수는 앞으로 주주들의 표결과 규제 당국의 승인 등을 거쳐 올해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

NYT는 "세계 지도자들과 명사들, 문화계의 트렌드 주도자들이 자주 찾는 영향력 있는 소셜미디어를 인수하려던 세계 최고 부호의 승리"라면서 "이번 블록버스터 합의는 한때 불가능해 보였던, 변덕스럽기로 유명한 머스크의 인수 시도의 대단원"이라고 평가했다.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이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상장 기업을 비(非)상장사로 전환하는 거래로는 최소한 최근 20년 새 이뤄진 것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머스크는 성명을 통해 "표현의 자유는 제대로 작동하는 민주주의의 기반이며 트위터는 인류의 미래에 필수적인 문제들이 논의되는 디지털 광장"이라며 "트위터를 그 어느 때보다 더 낫게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또 "트위터는 엄청난 잠재력이 있으며, 나는 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트위터 및 이용자 공동체와 함께 일하길 고대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브렛 테일러 이사회 의장은 "이사회가 가치와 확실성, 자금 조달에 신중하게 초점을 맞춰 머스크의 제안을 평가하는 사려 깊고 종합적인 절차를 거쳤다"며 "제안된 (인수) 거래는 상당한 현금 프리미엄을 제공할 것이며, 우리는 이것이 트위터의 주주들에게 최선의 길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NYT는 그러나 이번 인수가 머스크가 트위터로 무엇을 할지, 전 세계적인 온라인 담론에 머스크의 행동이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에 대한 의문을 즉각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머스크가 공언한 대로 트위터가 비상장사가 되면 투자자나 규제 당국 등의 감시 시선을 피해 서비스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8천300만여 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영향력 큰 트위터 이용자인 머스크는 그동안 표현의 자유를 더 증진하고, 어떤 콘텐츠가 게시될지와 관련해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주는 등 트위터를 변혁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NYT는 다만 그렇다 해도 트위터에 대한 검증과 감시는 엄격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위터의 일간 이용자는 2억1천700만여 명으로, 30억 명 이상의 이용자를 가진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등에 비하면 규모는 작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담론을 형성하는 데에는 이런 규모 이상의 역할을 해왔다. 정치 지도자들은 자기 생각을 알리는 공개 창구로 트위터를 이용해왔고, 기업체나 유명 인사 등도 브랜드, 이미지 조성에 이를 활용해왔다.

그와 동시에 트위터는 허위 정보와 해로운 유해 콘텐츠의 유통 창구가 되면서 자주 논란의 한복판에 서기도 했다. 일례로 트위터를 활용해 다른 이들을 모욕하고 도발하기를 즐기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월 6일 의사당 폭동을 부추긴 뒤 트위터 이용이 금지되기도 했다.

한편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에 성공하자 트위터 주가가 크게 올랐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트위터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머스크가 440억 달러(약 55조 원)에 트위터를 인수하는 것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5.66% 급등한 51.70달러로 장을 마쳤다.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소식은 가상화폐 도지코인 가격도 끌어올렸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가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보합세를 보였으나 머스크가 공개적으로 지지해온 도지코인이 거의 30% 급등했다고 전했다.

미국 서부시간 기준 오후 2시 현재 도지코인은 20% 넘게 오른 0.16달러에 거래 중이다.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머스크가 트위터 결제 시스템에 도지코인을 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는 소폭 하락했다. 테슬라는 이날 0.7% 하락한 998.02달러로 장을 마쳤다.

이정훈기자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