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정치일반

尹 공약사업 동력 잃나…부처·지자체 중심 숙원사업 해결 의지 필요

지난 대선 당시 강원권 7대 공약 제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오색케이블카 이행
강원특별법 3차 개정 탄핵정국서 장기화
접경지·폐광지 고속교통망 시작도 못해
향후 부처·지자체 중심 추진 의지 보여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7일 국회 앞에 모인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서울=박승선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부결됐으나 정치적 직무정지 상태에 놓이며 이른바 윤석열표 강원 공약사업들의 이행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강원특별자치도 설치와 오색케이블카 사업 등 일부 사업은 이미 본궤도에 올랐으나 일부 현안사업들은 부처와 지자체 중심의 추진 의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강원지역 7대 공약은 △강원경제특별자치도 설치 및 규제개혁 △고속 교통 네트워크 구축 △5대 권역별 신성장 산업 육성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 △오색케이블카 건설 등 5대 거점별 관광테마개발 △강원도 탄소중립특구 조성 △기후변화 대응 농·임·수산업 등이다.

이중 핵심 공약은 강원특별자치도 설치와 오색케이블카 건설이 꼽힌다. 오색케이블카의 경우 이미 지난해 11월 착공했고 지방비로 사업비를 충당한다는 점에서 정국의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역시 이미 이행이 끝난 공약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현재 국회 심사가 진행 중인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논의 자체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고속교통망의 경우 내륙 관통 고속도로망, DMZ 횡단 고속도로, 원주~춘천~철원 고속철도의 건설을 약속했다. 하지만 이 사업들은 지난 2년여간 각종 행정절차가 이행되지 않아 아직 시작도 못했다. 향후 대통령의 조기 퇴진, 직무정지, 탄핵 등의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지자체와 지역정치권을 중심으로 꾸준히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폐광지 경제활성화는 연말 제천~영월~삼척 고속도로 및 경제진흥사업의 예타 발표를 앞두고 직격탄을 맞았다. 정국과 상관없이 부처와 강원자치도, 시·군 차원의 신속한 수습이 이뤄져야 한다.

김진태 강원자치도지사는 “정국 불확실성이 클수록 정치와 행정은 분리돼야 한다. 지방행정의 담당자로서 소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