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확대 방안을 골자로 한 정부의 올해 경제정책방향 발표에 강원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2일 민생안정 등의 내용이 담긴 ‘2025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대상으로 긴급 경영안정 자금을 상반기 내 최대한 공급하고 필요하면 추가 확대할 예정이다. 또 구인난이 심각한 업종·직무를 선별해 비전문취업(E-9) 비자 적용 대상을 확대한다.
최대 10년까지 장기 분할 상환을 할 수 있는 채무조정을 비롯해 성실 상환자나 경쟁력 제고가 가능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상생 보증·대출 등 은행권의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 방안이 추진된다.
소상공인 매출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세제지원과 온누리상품권 활성화 정책도 마련한다. 영세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한시적으로 15%에서 30%로 두 배로 높이고,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를 위해 골목형 상점가를 90개 추가 지정하는 등 상반기에 45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강원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은 환영했다. 최선윤 강원중소기업회장은 “강원지역 중소기업인들도 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을 환영한다. 이번 정책 방향이 지역 자영업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회 법 통과가 필수인 만큼 여야의 조속한 협치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극상 강원특별자치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그동안 인구가 적은 도내 일부 지자체의 경우 골목형 상점가 지정이 어려웠는데, 정부가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확대를 위해 추가 지정한다는 소식은 가뭄 속의 단비같은 소식”이라면서도 “도와 지자체도 지역상품권 할인율을 높이는 등 설을 앞두고 소비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관광 활성화 등을 통한 소비 활력 제고에도 나선다. 국내관광 촉진을 위해 최대 3만원을 지원하는 비수도권 숙박쿠폰 100만장을 새로 배포한다. 내국인 도시민박을 제도화하고 농어촌 민박 운영은 면적 제한 폐지, 음식 제공 허용 등 요건을 완화한다. 또 지역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해 소규모 관광단지 제도를 본격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