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교육

올해 수능 난이도 작년 수준 예상 … 급증한 수험생 수·의대 정원 ‘변수’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오른쪽)이 2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교육부 제공>

오는 11월 13일 시행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초고난도 문항(킬러문항)을 배제하는 출제 기조가 유지된다. 난이도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4만7,000명 늘어난 고3 수험생 수와 의대 모집인원 변동이 주요 변수로 꼽힌다.

교육부는 25일 ‘2026학년도 수능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하고, 학생들이 공교육 내 학습과 EBS 연계 교재 및 강의로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의 문항을 출제하겠다고 밝혔다.

수능은 전 영역·과목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되며, 시험 종료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교육과정 근거도 공개된다. EBS와의 연계는 문항 수 기준 50% 수준으로, 도표와 지문 등 자료를 활용한 간접 방식으로 연계 체감도를 높일 계획이다.

6월과 9월 두 차례 모의평가를 통해 수험생에게 실전 적응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수학·직업탐구는 ‘공통+선택과목’ 구조, 사회·과학탐구는 구분 없이 최대 두 과목까지 선택할 수 있는 체제를 유지한다.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치러지며, 한국사와 탐구 영역은 별도 답안지가 제공된다.

2026학년도 고3 학생 수는 전년 대비 4만7,000여명 증가해 입시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의대 모집인원 변수 속 최상위권 변별력도 관건이다.

종로학원 측은 “킬러문항 배제 3년 차로 수능은 과목별 변별력 확보 중심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의대 모집정원 확정과 편입학 규모 등 구체적 변수가 수험생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