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문화일반

신문협회, “AI 학습에 뉴스 무단사용” 네이버 공정위에 신고

한국신문협회는 네이버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하이퍼클로바' 등을 개발하면서 언론사의 뉴스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24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신문협회는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와 하이퍼클로바 X 개발 및 운영과정에서 언론사의 핵심 자산인 뉴스 콘텐츠를 무단으로 학습에 사용하고 관련 내용에 대한 공개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또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에서 뉴스 콘텐츠를 무단 복제하거나 원문의 맥락을 왜곡하고 중요한 정보를 누락하는 등 부당 이용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네이버가 뉴스콘텐츠를 이용하며 정보 출처를 미표시하거나 허위로 표기해 언론사의 저작권 및 권익을 침해했다고 덧붙였다. 신문협회가 밝힌 네이버의 주요 불공정 행위는 △자사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하이퍼클로바’ 및 ‘하이퍼클로바X’의 개발·운영 과정에서 뉴스 콘텐츠를 무단 학습에 활용한 점, △학습 데이터 내역을 비공개로 일관한 점, △AI 검색 서비스(Cue: 및 AI 브리핑)에서 언론 기사 원문을 왜곡하거나 출처를 명시하지 않는 등의 부당 사용 등이다. 신문협회는 네이버의 이러한 행위가 “국내 검색 시장 및 온라인 뉴스 유통 시장에서의 시장지배적 지위와 언론사와의 뉴스 제휴 계약 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결과”라며 “공정거래법 제5조(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금지) 및 제45조(불공정 거래행위 금지)를 위반하는 행위”로 판단했다. 신문협회는 네이버의 불공정 행위 즉각 중단 및 시정조치와 함께 △AI 학습 데이터의 투명한 공개 △뉴스 콘텐츠 이용에 대한 공정한 대가 지급 기준 마련과 대가 지급 △AI 기술 발전과 언론이 상생하는 건강한 생태계 조성 등을 요구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