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8,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며 고용시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산업 경기 둔화가 고용시장 전반을 흔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16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만2,000명이 증가한 88만7,000명으로 고용률은 66.9%로 집계됐다.
단순하게 일자리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산업별로 따져보면 고용의 질은 낮아졌다. 지역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인원은 각각 전년 동월대비 4,000명씩 줄어든 5만5,000명, 7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제조업·건설업 분야는 최근 경기둔화와 함께 민간투자 부진, 공공부문 발주 축소 등의 영향으로 현장 인력 수요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함께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1만1,000명이 감소했다. 자영업 등 개인 사업자들의 줄폐업이 통계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전년보다 1만7,000명이 오른 17만3,000명, 농림어업은 9,000명이 오른 11만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돈을 받지 않고 일하는 비임금 근로자가 증가했다. 비임금 근로자는 27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7,000명(10.9%)이 늘었다. 이 중 자영업자는 1만7,000명(8.1%),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명(24.5%)이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임금근로자는 61만2,000명으로 1만5,000명(-2.4%)이 감소했다. 임시근로자는 1만명(6.3%)이 증가했지만, 상용근로자는 2만명(-4.6%), 일용근로자는 6,000명(-14.3%)이 줄었다.
엄한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는 “취업자 수가 늘었다고 해서 지역 고용 상황이 좋아졌다고 볼 수 없다”며 “임금근로자 감소와 무급가족종사 증가가 의미하는 건 생계불안층이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