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 당사자인 '건진법사' 전성배씨의 자택에서 확보한 돈다발 관봉권의 띠지를 분실한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20일 "검찰 개혁의 당위성을 스스로 입증하고 있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북 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경북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검찰 해체는 검찰 스스로 하고 있는 것 같다" 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건진법사라는 사람의 집에서 발견된 돈뭉치에 개인에게 지급되지 않는 한국은행 관봉권이 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돈의 출처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검찰의 관봉권 띠지 분실을 언급하면서 "일부러 고의적으로 잃어버렸느냐"고 반문하며 "만약에 그랬다면 증거 인멸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잃어버린 스티커 띠지로 자금의 역추적이 가능할 텐데 그것을 실무자 실수로 잃어버렸다는 말은 정말 믿어지지 않는다"며 "검찰 스스로 증거 인멸하고 무마하려고 했다는 국민적 의혹에 해당 당시 검사들은 무엇이라 말하는지 앞으로 지켜보겠다"고 했다.
그는 "일반 기업이나 일반 국민이 주요 증거품을 실수로 분실했다면 검찰은 재까닥 증거 인멸 혐의를 씌워서 압수수색하고 수갑을 채웠을 것"이라며 "검찰 스스로 검찰을 압수수색하고 수갑을 스스로 채우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날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서울남부지검이 전씨의 자택에서 확보한 돈다발 관봉권의 띠지를 분실한 것과 관련해 감찰 등 진상 파악 조치를 지시했다.
법무부는 "정 장관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남부지검의 건진법사 관봉권 추적 단서 유실 및 부실 대응 문제와 관련해 진상 파악과 책임소재 규명을 위한 감찰 등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다"며 "매우 엄중안 사안"이라고 밝혔다.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검팀 출범 전에 건진법사 의혹을 수사했던 남부지검이 전씨 자택에서 발견한 돈다발의 출처에 관한 정보가 적힌 띠지를 분실한 것으로 확인된 데 따른 조치다.
장관 지시에 따라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검사)은 이날 곧바로 대검 감찰부에 진상 파악과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한 감찰 착수를 지시했다.
대검 감찰부는 즉시 감찰3과장을 팀장으로 하는 조사팀을 남부지검으로 보내 감찰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앞서 남부지검은 작년 12월 전씨 자택을 압수수색해 1억6천500만원어치 현금다발을 확보했다. 이 중 5천만원어치 신권은 한국은행이 밀봉한 관봉권이었다.
검찰은 현금의 출처를 추적하지 못한 채 사건을 특검팀에 넘겼다. 돈다발 지폐의 검수 날짜, 담당자, 부서 등의 정보가 적힌 띠지와 스티커를 분실했기 때문이다.
남부지검은 직원이 현금을 세는 과정에서 띠지 등을 잃어버렸다는 입장이다. 당시 신응석 남부지검장은 퇴직한 상태다. 신 전 검사장은 검찰 재직 당시 대표적인 특수통으로 꼽혔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중앙지검장이던 시절 형사3부장을 지내는 등 '친윤' 검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법무부 장관이 일선 검찰 수사 과정과 관련해 직접 감찰을 지시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그만큼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