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대선 무대서 사라진 강원도…3% 한계 극복 위한 ‘부각’ 필요

강원 출신 대선 주자 없고 도내 순회 경선 없을 듯
이전 대선과 비교해서 관심 밖으로 밀리는 분위기
정치권서 적극적인 의제 발굴, 강원도 부각 필요

본격적인 대선 정국에 돌입했지만 대선 무대에서 강원자치도는 관심 밖으로 밀리는 분위기다. 강원출신 대선주자가 없는데다가 짧은 선거일정으로 각 당의 지역순회 경선에서도 강원도는 자칫 ‘패싱’ 될 처지다.

20명에 육박하는 국민의힘 경선 주자에 강원 출신 인물은 보이지 않는다. 전국적으로 광역지자체장들이 도전장을 내민 가운데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도정에 집중하고 있다.

권성동(강릉) 원내대표와 이양수(속초-인제-고성-양양) 사무총장 등이 활약하고는 있지만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치 입문을 직접 이끌고, 본선 캠프에서 핵심 보직을 맡았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강원 연고로 분류되는 한동훈 전 국힘 대표의 경우 ‘강원도 선수’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더불어민주당도 마찬가지다. 3년 전 당시 최문순 지사와 이광재 의원이 당 경선에 뛰어들었다. 경선 탈락에도 불구하고 나름 강원 이슈와 존재감을 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에도 이름이 오르내리는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은 아직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짧은 선거 일정 탓에 강원 방문 일정도 선거 직전에서야 형식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전국 합동 순회 연설을 하지 않기로 했다.민주당도 권역별로 경선을 치르면서 강원도는 수도권, 제주와 함께 묶어 서울에서 치를 가능성이 높다. 강원 현안이나 발전 방안에 대한 관심이 모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인구 3%의 한계 극복하고 강원자치도법 개정 등 현안을 해결하려면 정치권이 나서서 적극적인 의제를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강원 지역구 의원실의 한 보좌진은 “이전 대선과 비교해서 선거 분위기는 차분하다”며 “강원 정치 인사들이 적극적으로 강원도를 부각시키고, 공약이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더 고민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