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전화금융사기가 다시 활개를 치고 있다. 그 수법 또한 날로 교묘해지면서 특히 노인들의 피해가 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도내 우체국 전화금융사기 문의가 매달 200~300건에 이르고 있다.
강원체신청은 우체국 직원을 사칭한 전화금융사기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홍보와 캠페인을 전개하고 직원 교육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4월 '보이스피싱과의 전쟁 선포' 후 강원도내 우체국 직원들이 시가지 주요 통행로에서 전화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가두 캠페인을 실시했다. 특히 전화금융사기의 주 피해자가 고령의 어르신들임을 감안해 노인대학, 복지센터 등을 방문하여 전화금융사기 수법과 대응요령을 꼼꼼히 설명하는 등 고객의 소중한 재산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지난해에만 22건의 전화금융사기로부터 2억6,400만원의 고객재산을 지켰으며, 사기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하려던 용의자 4명을 신고하여 경찰이 검거하였다. 금년에는 벌써 4월 현재 11건에 1억1,800만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이는 지난해 예방건수의 50%로 전화금융사기가 얼마나 극성을 부리고 있는지 설명해 주는 단적인 예이다.
전화금융사기 피해예방 사례는 다양하다. 지난해 도내 모 우체국 직원이 이체를 하는 고객을 설득하였으나 우체국 직원을 믿으면 안된다는 말에 계속 이체를 하자 현금인출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이체를 중단한 적도 있다. 또 평소 카드 거래가 없다가 급히 카드 발급을 요청하거나 고액의 금액을 인출하는 고객, 현금자동지급기 주변에서 휴대전화로 통화하는 고객들을 유심히 살펴 피해를 예방한 적이 있다.
이렇게 우체국을 비롯한 여러 금융기관과 수사 당국이 전화금융사기에 대해 많은 홍보와 예방 노력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전화금융사기는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새로운 수법을 통해 일반 국민을 현혹시켜 피해가 늘고 있다.
모든 범죄가 그렇듯이 전화금융사기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요즘 횡행하고 있는 우체국 직원 사칭 전화를 받으면 전화금융사기가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 한다.
우체국에서는 우편물 도착 및 발송과 관련하여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개인정보 관련사항을 문의하지 않는다. 특히 녹음된 목소리로 안내문이 나오는 경우나 현금인출기 조작을 유도하는 경우는 명백한 사기 전화이다.
그리고 집에 온 우편물과 택배 겉표지에 쓰인 수신인 성명이나 전화번호, 각종 고지서 등에 적혀 있는 개인 전화번호 등은 버리기 전에 검정색으로 덧칠하거나 떼어버려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도 좋은 예방 방법이다. 만약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전화를 끊고 가까운 우체국에 문의해 보는 것이 좋겠다.
또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사기 전화에서 요구하는 대로 자금을 이체하였거나 개인 정보를 알려준 경우에는 바로 검찰청(국번 없이 1301)이나 경찰청(1566-0112)에 신고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사후 대처 방안이라고 하겠다.
이와 함께 전화금융사기 피해액을 변호사 비용 부담없이 2개월 내에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것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경찰청이 대한법률구조공단과 함께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위한 구조절차를 마련함에 따라 전화금융사기에 속아 돈을 이체한 피해자가 지급정지 계좌에서 피해금액을 돌려받는 절차가 간소해졌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강원체신청 모든 직원은 날로 수법이 교묘해지고 지능화되는 전화금융사기 예방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 나감으로써 소중한 고객의 재산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