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80만
교육

[6.13 지선-도교육감 출마 예상자]현 정부 교육정책 방향 의견 차이 뚜렷 … `진보 vs 보수' 대결구도 심화

◇도교육청 전경.강원일보DB.

특목고 우선선발 폐지 등

사실상 제2평준화 추진에

학생간 학력격차 우려 맞불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진보와 보수 간 대결 구도가 어느 때보다 심화될 전망이다.

현 정부가 강한 교육 개혁 의지를 표방함에 따라 주요 정책별로 진보와 보수 간 의견 차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6·13 교육감 선거는 현 정부와 교육 정책을 같이하는 민병희 교육감과 이를 저지하려는 보수 후보 간 정책 대결이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민 교육감 3선 저지를 위한 보수 후보 단일화 움직임이 벌써부터 나타나고 후보들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성사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의 교육 정책중 현재 진보와 보수 간 가장 큰 이견을 보이는 쟁점은 교장 공모제와 자사고·특목고 우선선발 폐지, 도내 학생 학력 격차 해소 등으로 요약된다.

교육부는 교장 공모제 개선방안을 담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하고 자사고와 특목고 외고 등의 학생 우선 선발권을 폐지, 사실상 제2의 평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당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는 시·도교총회장 연석회의를 통해 교장 공모제 확대 철회를 위한 총력 투쟁을 결의했고 자사고 교장들은 우선선발권 폐지 정책 중단을 요구했다.

더욱이 보수 교육계를 중심으로 도내 학생들의 학력 차가 점점 심화되는 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총의 영향력이 재삼 확인됐고 도내 보수 후보들은 이점을 고려, 연일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도내 6,000여명의 교총 회원들의 지지를 얻는다면 보수 대표 후보로서의 명분과 함께 실리를 챙길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이에 대해 도내 교총 관계자는 “교총은 단체의 성격상 어느 특정 후보를 지지하기 어렵다”며 “다만 보수를 표방한 인사들의 단일화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이처럼 최대 회원을 거느린 교총 조차 관심을 갖고 있는 보수 후보 단일화는 벌써부터 교육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에는 현재 후보군들이 모두 출마한다면 3선의 민 교육감과 경쟁이 안된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13억원에 이르는 교육감 법정선거비용도 한몫하고 있다. 2014년 선거 당시 '민들레 펀드'로 선거 비용을 조달한 민 교육감은 이번 선거에서도 또다시 펀드를 조성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보수 후보들은 인지도가 낮은 상황에서 펀드 조성이 어려워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보수 각 후보들은 인지도 상승과 이에 따른 선거 자금 조달을 위해서라도 단일화에 희망을 품고 있다. 실제 최근 일부 교육단체가 후보들에게 접촉, 단일화 추진 의사를 밝히는 등 물밑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벌써부터 가능성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형철·장현정기자

관련기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