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척상의·시사회단체협
철벽부대 계획 철회 촉구
“중요시설 밀집 안보 우려”
靑·국회·장관등에 건의문
【삼척】속보=동해안 해안경계를 책임지고 있는 육군 제23사단 존치 요구(본보 지난 8일자 14면 보도)가 확산되고 있다.
삼척상공회의소는 지난 19일 '육군 제23사단 해체 계획 철회' 건의서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 안규백 국회 국방위원장, 이철규(동해-삼척) 국회의원, 도, 삼척시, 시의회 등에 발송했다.
삼척상의는 건의서에서 “북한 목선 삼척항 입항과 관련해 주민뿐만 아니라 국민이 해안 경계 실패 원인은 차치하고라도 안보 불안이라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며 “동해안 지역은 1968년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발생한 지역이라 주민 불안은 더욱 크다”고 했다. 이어 “지역에는 국가 보안시설인 한국가스공사 삼척기지본부와 한국남부발전 삼척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고 포스파워 삼척화력발전소와 국방과학연구소가 건설 중이며 삼표시멘트와 쌍용양회, 경동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들이 밀집돼 지역 군부대 확대 개편이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삼척시사회단체협의회도 이날 '육군 23사단 해체 계획 철회' 성명서를 발표했다. 협의회는 “국방개혁2.0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육군 제23사단 해체 계획 철회를 삼척시민의 이름으로 강력히 요구한다”며 “23사단은 그동안 삼척, 동해지역은 물론 강원 영동지역 태풍 피해, 폭설, 산불 등 자연재해와 각종 사건·사고 때마다 주민들과 하나가 돼 역할을 충실히 해 왔다”고 했다. 특히 협의회는 “북한 목선 삼척항 셀프 입항으로 안보 불안이 커지고, 국가 주요 보안시설인 LNG생산기지와 발전시설 등이 밀집돼 해안 경계가 한층 강화돼야 하는 실정으로 부대 존치와 증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철벽부대로 불리는 육군 제23사단은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여파로 지역 경계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돼 1998년 12월1일 제23보병사단으로 재창설됐다. 양양, 강릉, 동해, 삼척 등 4개 시·군 해안경계를 책임지고 있다.
유학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