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회장을 만나 내년도 코로나 백신의 순조로운 추가 도입 및 조기 공급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불라 회장과의 접견에서 "내년도 백신 1차 계약에 이어 추가도입 계약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바란다"며 "또 부스터샷과 접종 연령 확대로 최대한 계약 물량을 조기에 공급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8월 내년도 백신 3천만회 분을 구매하기로 화이자와 계약한 상태다.
이에 대해 불라 회장은 "요청 사항을 유념하고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며 "내년의 경우 여유가 있기 때문에 협약을 빨리 체결하면 조기 공급의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문 대통령은 화이자의 백신 개발 능력과 한국의 생산 역량 결합 필요성을 언급했다. 글로벌 백신 허브로서 한국에서의 화이자 백신 위탁생산 문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네 가지 코로나 백신을 위탁생산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한 건의 문제도 없었기 때문에 우리의 생산능력을 신뢰해도 된다"고 했고, 불라 회장은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불라 회장은 동시에 한국의 과학기술과 삼성 등 한국 기업들과 협업한 점을 건론하며 "화이자는 코로나 이외의 백신도 생산하고 다른 질병 치료제도 생산하므로 한국과 협력 강화 여지가 많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 정부는 의약품 연구개발과 생산에 있어 화이자와의 협력을 환영하며,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문 대통령은 "화이자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기업이 됐다. 인류를 팬데믹에서 구하고 있다"고 평가한 데 이어 "화이자 백신은 한국 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백신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불라 회장은 "한국 국민들을 위해 더 긴밀한 협력을 하고, 한국을 계속 돕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한국이 베트남에 내달 중 100만회 분 이상의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코로나 발생 초기부터 방역 물자를 나누며 함께 위기를 극복했다"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그동안 한국은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공급하는 코백스(COVAX AMC)에 올해와 내년 2억 달러 공여를 약속하는 등 재정 지원만 해왔다. 특정 국가에 직접 백신을 공급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지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