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40만
칼럼

[발언대]기후 변화에 대비한 과학적 물관리

김철한 한국수자원공사 태백권지사장

사무실 뒤편, 10분 걸어가면 삼수령이 있다. 그곳 북쪽과 남쪽에 내리는 빗방울은 각각 한강, 낙동강이 되어 서해와 남해로 흘러가고, 동쪽에 내린 비는 동해로 간다. 같은 지점 물이 나뉘어 바다로 굽이쳐 가며 수많은 마을과 도시를 잇는다.

최근 뜨고 있다는 인공지능 ChatGPT에게 강원지역 상수도 등 물관리에서 직면한 과제가 무엇인지 물어봤다. 산악지형으로 수자원은 풍부한데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기후 변화로 강수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인구 밀집도가 낮아 공급 불안정 가능성이 있다는 등 바로 답한다. 물관리에 종사하는 사람들 수준의 답변이 놀랍다.

지금 호남지역은 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기후 변화로 물의 시간적, 지역적 불균형은 더욱 커질 것이다. 특정 시기 집중호우와 국지적 가뭄에 대응한 안정적 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인구 감소는 지방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부터 이미 감소하고 있다. 인구 감소로 상수도 시설 이용률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증가하고 효율적 시설 운영에 지장을 주게 된다.

자동차 평균 수명이 15년 정도라고 하는데 21년 이상 된 상수도관 비중은 35%에 가깝다. 낡은 시설에서 누수로 생산비는 늘어난다. 연간 전국 상수도 누수량은 약 6억8,000만톤(㎥)이다. 횡성댐 총저수용량의 8배 정도 수돗물이 매년 새고 있다. 지자체별 누수와 생산비 기준 국가 손실이 매년 9,500억원에 달한다. 수돗물 1톤당 평균요금이 평창군은 1,379원으로 서울시 523원의 2.6배다. 그런데 주민 1인당 물 공급에 필요한 수도관 길이는 평창군은 27.2m로 서울시 1.4m보다 대략 20배 많다. 규모와 인구밀도에 따라 비용 차이가 생기는 것인데, 지역 간 요금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해 물관리 시설은 서로 연계하여 재난 대처 능력을 확보해야 하고, 서로 연계해야 효율을 높이고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방대한 누수를 줄이면 수자원을 확보하고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데, 단순히 낡은 수도관을 바꾼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물 사용 패턴을 고려한 수압관리와 누수 감지,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초연결의 시대. 인공지능이 삶의 방식을 아예 바꾸고 있다. 이제는 물관리를 하면서 지역별로 분절된 시설을 서로 연계하고 발전된 과학기술을 접목해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