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새벽 경주에서 규모 4.0의 지진이 발생하고 올들어 동해안을 비롯, 전국적으로 지진이 잇따르고 있지만 강원특별자치도내 건축물 대다수가 사실상 무방비 인 것으로 확인됐다. 10동 중 9동은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았으며 공공건물 보다도 민간건물이 지진에 더욱 취약,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내진 설계 안된 건물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갑)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건축물 내진설계 현황에 따르면 올 6월 기준으로 전국 건축물의 내진율은 16.4% 였지만 도내 내진설계 건물은 12.9%에 불과했다. 이는 충북(14.7%), 전북(13.6%)등 강원자치도와 여건이 유사한 지방자치단체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강원자치도내 공공건축물의 경우 2만7,932동 중 3,540동에 내진설비가 갖춰져 22.5%의 내진율을 보였지만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12.4%에 불과, 10%포인트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2017년 12월 이전 건축 건물은 현행 내진설계 기준을 준수할 의무가 없는 점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허영 의원은 “한반도의 경우 규모 5.0 이상의 역대 지진 10건 중 7건이 2000년대 이후, 5건이 2010년대 이후에 발생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보다 실효적인 건축물 내진성능 확보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벽잠 깨운 재난문자
이날 새벽 경북 경주에서 규모 4.0 지진이 발생하면서 새벽 시간에 강원자치도 및 전 국민에게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며 "재난문자 때문에 깜짝놀라 강제 기상했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진동 조차 못느낀 지역까지 재난문자를 보낸 것은 과하다는 불평이다.
춘천에 거주하는 이모(56)씨는 "새벽에 요란한 알람이 울려 너무 놀랐다" 며 "진동도 못느꼈는데 왜 강원도까지 문자를 발송했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대해 기상청 관계자는 "재난문자 규정에 내륙에서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전국에 재난문자를 보내게 돼 있다" 며 "이번 지진의 경우 강원도에서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꼈을 수도 있지만 안전을 위한 조치인 만큼 재난문자를 수신했을 경우 대피할 준비를 해 달라" 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