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제79주년 광복절 기념식이 파행을 빚은 가운데 1948년 건국 발언을 했던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1948년 8월15일 건국’을 말했을 뿐 건국절 주장은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광복회와 정치권에서도 연이어 각각의 입장을 내놓으면서 건국절 공방이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김진태 지사는 지난 16일 밤 SNS를 통해 “광복회가 이젠 내가 건국절을 주장했다고 논평을 냈다. 하지만 난 건국일이 1948.8.15라고 말했을 뿐 건국절에 대해선 한 마디도 한 적이 없다. 오히려 광복절로 그 날을 기념하고 있는데 굳이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며 “광복회가 희망하는대로 세상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이래서 1919년 건국설이 나오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앞서 광복절 경축사에서 “어떤 분들은 3·1 독립선언과 임시정부 수립이 이뤄진 1919년에 대한민국이 건국됐다고 주장한다”며 “하지만 국가는 국민, 주권, 영토가 있어야 한다. 당시 국민으로부터 부여된 통치권이 없었고, 주권이 미치는 영토도 없었다. 이것은 상식적인 것으로 1919년이 건국이라면 나라가 이미 있기 때문에 독립운동도 필요 없고 광복 자체도 부정하는 자기모순에 빠진다”고 말했다.

이어 “궤변으로 1948년 건국을 부인하면서 대한민국 정체성을 훼손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는 자학적 역사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발언의 강도를 높였다.
이에 광복회 강원도지부장과 회원 등이 강하게 반발하며 행사 도중 퇴장하는 일이 벌어졌다.
광복회는 김 지사의 경축사 이후 논평을 통해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1948년 건국절 주장을 펼쳤다. 건국절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대통령실의 언급이 얼마나 신뢰를 주지 못하는 발언인지를 방증한다”고 주장했다.
또 야당을 비롯한 정치권 등에서도 일제히 김 지사의 발언을 비판하는 성명, 논평 등을 내놨다.
반면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는 “광복회와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역사 논쟁, 이념 갈등을 넘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퇴진 요구, 제2의 내선일체 등 도를 넘는 막말과 원색적 비난으로 광복 정신을 폄훼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이종찬 광복회장의 사퇴를 요구해 당분간 확전 양상을 보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