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문화일반

[책]김진섭 전 춘천교대 특임교수 ‘왕의 밥상’

춘천교대 겸임교수와 동국대 만해마을교육원 교수를 역임한 김진섭 작가가 조선시대 왕의 식탁을 통해 권력의 실체를 들여다본 책 ‘왕의 밥상’을 펴냈다.

‘수라와 궁궐 요리사 그리고 조선의 정치’를 부제로 한 이 책은 조선 왕조실록을 토대로 ‘왕이 밥을 먹는다’는 행위 자체가 지닌 정치적 상징성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치밀하게 파헤친다. 수라상은 왕의 식사 자리이자 정치 무대였다. 밥상을 물리고 반찬 수를 줄이는 감선은 단지 절식이 아니라, 재난 앞에서 왕이 백성을 대신해 몸소 고통을 감수한다는 정치적 메시지였다. 때로는 신하를 꾸짖고, 때로는 자신의 무능을 감싸기 위한 수단으로 감선은 활용됐다. 그러니 왕의 식탁은 언제나 조용할 수 없었다. 또한 책은 수라간이라는 제한된 공간을 통해 궁중 권력의 미세한 흐름까지 읽어낸다. 수라간의 남성 요리사들, 감히 이름조차 오르내릴 수 없던 여관(女官)들의 존재, 외국 사신에게 제공된 특별 요리, 그리고 그 이면의 정치적 계책들까지. 조선의 요리사는 단지 음식을 조리하는 이가 아니라, 때로는 외교관이자 비밀 정보원이기도 했다. 흥미로운 것은 궁중 요리가 사치의 상징이기보다는 오히려 절제와 도덕성의 표본으로 기능했다는 점이다. 왕의 밥상은 화려한 진수성찬이 아니라 균형 잡힌 보양식이었고, 이는 군주의 검소한 태도와 자기 관리를 백성에게 보여주는 통치의 연장이었다. ‘왕의 밥상’은 음식이라는 일상적인 소재로 조선이라는 제국의 권력 구조를 해부한다. 단순한 미각의 탐미가 아닌, 정치의 식탁을 들여다보고 싶은 이에게 이 책은 더없이 흥미로운 메뉴일 수 있다. 지성사 刊. 272쪽. 2만3,000원.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