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일보 모바일 구독자 260만
지역

강원도 산불발생 초기부터 1단계 수준 대응

◇2025년 제2차 도-시군 정책협의회가 1일 강릉시청 대회의실에서 여중협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와 국장단, 김홍규 강릉시장, 시군 부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강릉=권태명기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형 산불 방지를 위해 영농 부산물 소각 단속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1일 강릉시청 대회의실에서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2025년 제2차 도-시군 정책협의회를 열고 경북·경남 산불을 계기로 진화인력 150명 동원, 관할 헬기 100%, 인접 헬기 50% 지원, 장비관할 100% 동원 등 산불 발생 초기부터 ‘산불 1단계 수준’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도 주요 국장단과 시·군 부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회의에서 도는 강풍 시 화목 보일러를 매일 1회 이상 방문 검검하고 불법소각·입산자 실화 등 단속 및 순찰을 강화하는 한편, 감시원 확충과 재처리 용기도 보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18개 시군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주민 및 취약시설 대피계획, 문화유산 소산방지(보전) 계획을 수립하고, 민방위 경보시설을 이용해 산불예방 홍보를 일일 2회 실시하도록 당부했다.

특히 인제권 임차 헬기의 추락사고로 산불진화용 임차헬기 배치가 조정돼 홍천권(홍천, 춘천)에 인제가 포함되고, 화천권(화천, 철원)에 양구가 포함돼 권역(면적 증가)이 넓어져 산불발생 시 연접권 임차헬기를 동시에 투입할 계획이다.

여중협 도 행정부지사는 “불법 소각 등 산불예방 감시 활동에 가용인력을 총동원하고, 청명·한식 기간 주요 공원·공동묘지(성묘객), 등산로 등 위험지역에 공무원, 산불감시원 등 감시인력을 집중 배치, 감시를 강화해 달라”고 시·군에 요청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