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강원특별법 3차 개정 및 특례 확대, 광역 교통망 구축, 반도체·바이오헬스 등 첨단산업의 육성, 접경지 및 폐광지역 특화 발전 전략 등 강원특별자치도 핵심 현안들이 대선 공약 과제로 구체화되고 있다.
강원자치도는 22일 공약 추진단 최종 점검 회의(본보 22일자 2면 보도)를 열고, 제21대 대선에 제안한 과제의 실행 가능성과 우선순위를 정비했다.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는 도청 실국과 18개 시군이 제출한 공약 후보 과제를 중심으로 정부 정책과의 정합성, 국비 확보 가능성, 정책 파급력 등을 집중 검토했다. 또한 유사하거나 중복된 과제는 통합·조정하고, 현실적 실행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적 재구성이 이뤄졌다.
특히 국회에 계류 중인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의 통과는 물론 법안에 미반영된 핵심 특례 조항들을 대선 공약에 포함시켜 법 개정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강원형 7대 미래산업(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수소 등)의 집중 육성, 접경지·폐광지역 맞춤형 발전 전략 등도 공약 반영의 핵심 축으로 삼았다.
이번 점검은 단순한 제안 수준을 넘어, 공약 과제를 실현 가능한 수준으로 정리하고, 향후 국정과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내실을 다지는 과정으로 평가된다.
앞서 도는 지난 14일 ‘7대 분야 23개 과제’를 각 정당에 1차로 전달한 바 있다. 이어 공약 추진단을 공식 출범시키고, 강원연구원과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실무 회의를 통해 세부 과제의 타당성 및 정책 연계성을 검토해왔다. 이후 18개 시군에서 접수된 100여 건의 과제 중 80여 건을 1차 공약안으로 추렸다.
김진태 지사의 최종 검토를 거쳐 공약과제를 확정한 뒤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5월 초에는 각 정당의 대선후보가 모두 확정되는 시점에 맞춰, 최종 선정된 공약과제를 대선캠프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여중협 행정부지사는 “이번 회의는 도민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공약 과제를 선별하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향으로 재정비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강원특별자치도의 위상을 높이고, 미래 10년의 성장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